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50427.010010724300001

영남일보TV

“안심연료단지 先토지수용 後개발”…대구시 실무부서 계획안 마련

2015-04-27

주민피해 속 땅값상승 부담 커
단지 이전·폐쇄 속도 붙을 듯

대구시가 환경성 폐질환자가 속출하는 ‘안심 연료단지’의 해결 방안을 ‘토지 수용 후 개발’로 가닥잡으면서, 연료단지 이전 및 폐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26일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실무 부서 차원에서 안심 연료단지 일대 개발계획안이 수립됐다. 이 계획안의 주요 골자는 이 일대 토지를 대구시가 수용해 개발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 산하 공기업과 연료단지 개발 주체 등에 대한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의 담당 부서는 조만간 권영진 시장에게 연료단지 관련 도시개발계획안을 보고하고, 시장 승인을 받는 대로 도시개발사업 고시 등 행정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대구시가 연료단지 해결에 속도를 내는 것은 이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절박한 이유에서다.

우선 연료단지 인근 주민이 무더기로 폐질환 판정을 받는 등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연료단지 인근 주민 160여명이 환경성 폐질환자로 최종 확정됐다. 연료단지 주변의 환경이 폐질환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환경 및 예방의학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단은 “폐질환자 대부분이 크든 작든 연료단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을 내놨다.

토지 보상비 문제도 시간을 더 늦출 수 없는 이유다.

이달 중순 연료단지 이전 이후 개발 구상에 대한 용역 결과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수년 전부터 연료단지는 이전되고 후적지는 개발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이 지역 땅값이 계속 오르고 있다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이전이 늦춰질수록 보상액이 올라가고 이는 결국 대구시의 부담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도 연료단지 이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지난달 김상훈 국회의원(대구 서구)은 석탄사업장 주변에 사는 주민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석탄산업법 일부 개정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석탄사업장 인근 주민에 대한 의료 사업을 실시하고, 분진으로 위해가 발생할 경우 사업자에 대한 지원금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근 주민들 역시 대구시가 강제 수용을 해서라도 하루빨리 연료단지를 폐쇄 혹은 이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은희진 안심연료단지 비산먼지대책위원장은 “연료단지 업체들도 아쉬운 마음이 있겠지만, 기업 이익보다 피해받는 주민을 먼저 생각해 사회환원 차원에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만수 대구시 창조프로젝트팀장은 “시민의 건강권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는 게 대구시 기본 방침이다. 권 시장의 공약대로 연료단지 문제를 최대한 빨리 매듭지을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1971년 조성된 안심 연료단지에는 현재 연탄공장 3곳과 레미콘 2곳, 아스콘 1곳 등 공장 6곳이 가동중이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