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재훈기자<서울본부 정치부> |
국정감사 이후 정치권에는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의 ‘불출마’ 선언이 화두로 떠올랐다. 이철희 의원(비례대표)과 표창원 의원(경기 용인정)이 잇따라 차기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낸 것이다. 이들이 불출마를 선언한 이후 언론 인터뷰는 줄을 잇고 있다. 또한 28일에는 당 지도부와 만나 혁신과 쇄신을 요청하는 등 불출마 선언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목소리에 정치권의 관심이 오히려 높아지는 모양새다.
두 의원 불출마에 대한 시선은 대체적으로 두 갈래로 갈렸다. 먼저 두 사람 모두 공통적으로 ‘정치권의 자성’을 촉구하며 자리를 내놓은 만큼, 세대교체를 바라는 ‘용기있는 결단’이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즉 ‘조국 사태’로 위기를 겪은 민주당을 위해, 스스로의 희생으로 변화의 신호탄을 쐈다는 것이다.
부정적인 여론도 있다. 집권 여당의 의원인 만큼 임기 후에도 소위 ‘갈 곳이 많다’는 분석이다. 두 의원 모두 국회 등원 이전에 방송이나 연구 등으로 각자의 영역에서 활발한 모습을 보여왔기에, 직·간접적으로 정치 분야에서 계속 활동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는 주로 야당에서 제기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이 같은 움직임이 있는 수도권과 중앙정치권에 부러운 감정이 더 크다. 정작 개혁과 혁신의 대상이 되어야 할 대구경북(TK)에서는 오히려 ‘기득권 지키기’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탄핵 정국부터 ‘책임’을 언급한 정치인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나마 조건부 불출마를 선언했던 한 초선 의원은 대구 정치권의 중책을 맡아 재선을 노리고 있기도 하다. 최근에는 자유한국당 경북도당의 총선 출마 예상자의 ‘입당 불허’를 놓고, 현역의원의 ‘견제’가 있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불명예를 입은 전 국회의원이 “차기 공천은 나를 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소문도 들린다.
한국당 TK를 비롯한 초·재선의원들의 이른바 ‘정풍운동’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탄핵 정국, 대선 패배, 지방선거 패배 등의 과정에서 일부 의원들이 직·간접적으로 목소리를 냈지만 결과는 무위에 그쳤다. 특히 한 TK 의원은 최근 당의 ‘전략 부재’를 참지 못하고, 일부 의원들의 혁신을 요구하며 ‘의원총회’ 소집을 준비했다. 하지만 의원총회 소집 정수(재적의원 10분의 1 이상·11명)를 넘지 못하는 ‘촌극’이 벌어졌다. 당시 해당 TK 의원은 기자에게 “10여명의 의원이 모두 동의해 놓고 다음날 입장이 바뀌더라. 총선을 앞두고 당 지도부에 ‘밉보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며 분개하기도 했다.
과거 영남 사림은 목에 칼이 들어와도, 사약을 받고 귀양을 가면서도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고 옳은 말을 했다고 한다. 여당에서 야당이 된 TK에서 왜 이 같은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가는 정말 곱씹어 봐야 할 대목이다. 물론 이철희·표창원 의원 모두 포항 출신이니 “영남 정신은 이어지고 있는 게 아닌가”라고 지적하면 할 말이 없다.정재훈기자<서울본부 정치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