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80516.010060714100001

영남일보TV

인력유출 방지 기대…지자체 재원부담 난제

2018-05-16

■ PTR교수제도 이점과 과제

20180516

대구 기업 대부분은 자체 연구소나 연구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그러나 기술발전에 가속도가 붙은 4차 산업혁명기에 접어들면서 기술발전 없는 기업성장은 불가능한 환경이 조성됐다. 현재 기업 R&D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지 않을 경우 지역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고 지방분권이 촉진되면 지자체·지역기업·대학이 혁신주체가 돼 지역발전을 견인해야 한다. 현재처럼 중앙정부가 자원을 배분하거나 지역발전의 밑그림을 그리고 지방정부는 집행기능만 해서는 지역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런 점에서 경북대가 대구시에 제안한 ‘핀 포인트 기술연구교수(Pin-point Technical Research Professor·이하 PTR교수)제도’는 기존 대학의 산학협력 방식의 한계점을 개선해 지역기업 발전은 물론 지역 혁신역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대안으로 평가된다. 또 지역기업의 규모가 영세한 만큼 연구인력 확보를 위한 재원을 국가나 지자체가 마련토록 한 것이 기존 산학협력방식과 차별화된다. PTR교수는 대학 소속이지만 기업으로 출퇴근해 기업지원 활동을 하게 된다. 대학의 연구개발인력이 실질적으로 기업의 기술개발에 활용되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은 자체 연구경험 축적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대학은 우수 연구인력의 외부유출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동안 지역에서 길러낸 우수인력이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지 못해 외지로 떠나면서 고급인력 유출과 지역 혁신역량 위축이라는 적잖은 문제를 안았다. PTR교수제도가 도입되면 지역혁신역량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인재 유출도 막고 기업성장 및 대학역량 강화라는 선순환 구조가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이 제도가 당장 시행되기에는 만만찮은 난제가 있다. 우선 지자체가 얼마만큼 재원을 부담할 수 있느냐는 문제다. 경북대가 예시한 자료에 따르면 PTR교수를 1년차 30명, 2년차 60명, 3년차 120명으로 확대하면 사업비가 약 28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자체가 오롯이 부담하기에는 만만찮다. 국비 등 재원확보방안을 좀 더 구체화해야 하는 숙제가 있다. 또 지자체가 예산편성을 과거 인프라 확충 중심의 재원배분에서 R&D로 무게 중심을 옮겨야 가능하다. 지역 관료, 지방의회 의원 등의 마인드 변화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나아가 기업선정을 어떻게 할 것이며, 어떤 분야를 중점 지원할 것인지, 성과평가가 가능한지 등 실제 정책입안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예상외로 많다. 대구시가 원칙적으로 공감하면서도 난색을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결국 지역혁신의 주체인 대학, 지자체,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얽힌 실타래를 하나하나 풀어나가려는 의지가 중요하다.

박종문기자 kpjm@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종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