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80113.010030711150001

영남일보TV

‘대권’받고 ‘공천’주고…수장-계파 실과 바늘의 관계

2018-01-13

[토요일&] 계파정치 과거와 미래

20180113
한국 정치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계파정치’는 우리나라 5년 단임제 대통령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연관이 있다. 상도동계의 김영삼, 동교동계의 김대중, 친노, 친이, 친박, 친문에 이어 최근에는 친홍까지 등장하며 이를 방증하고 있다. 2016년 20대 총선 때는 친박 내에서도 진박을 가릴 정도로 계파정치가 극에 달했다. 연합뉴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 4일 국정원 특수활동비 36억5천만원 유용 혐의로 검찰로부터 추가 기소됐다는 소식은 자유한국당 내 친박계의 멸문(滅門)을 알리는 조종(弔鐘)이었다. “단 한순간도 사익을 추구하지 않았다”고 했던 친박계의 수장이 불명예스럽게 수뢰 혐의를 받게 되고, 박근혜정부에서 경제부총리를 거쳐 ‘진박(眞朴) 감별사’를 자처했던 최경환 의원(경산)은 특활비 1억원 수수 혐의로 구속됐다.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내며 특활비 5억원을 선거여론조사 경비로 지출한 혐의를 받는 김재원 의원(상주-군위-의성-청송)도 친정인 검찰에 불려다니며 ‘조상육’(俎上肉-도마에 오른 고기) 신세로 전락했다.


대권주자, 공천 활용 지지 계파 결성
YS·DJ·MB·박근혜 정부 출범시켜
박근혜정권 계파 정치는 ‘양날의 칼’
독단적 국정운영에 비판조차 못하다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정권 단명 자초

한국당 친박 와해로 새 계파에 관심
친홍계 부상 가능성 있지만 미숙 단계
洪, 차기 대권주자로 경쟁력 보여야


◆계파정치의 과거

정치권의 계파정치는 대권 도전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대권주자가 당 공천을 얻기 위해선 당내 경선에서 이겨야 하고, 이를 위해선 당내에 지지 기반을 닦아 놓아야 한다. 역대 대권 쟁취에 성공한 인물은 예외없이 총선을 앞두고 국회의원 공천권을 활용해 자신을 지지하는 계파를 결성했다. 그 결과 ‘3김(金) 시대’에는 ‘상도동계’가 YS(김영삼) 정권을 만들었고, ‘동교동계’는 DJ(김대중) 정권을 탄생시켰다. 2000년 들어 ‘친이(親이명박)계’가 MB(이명박)를 대통령에 등극시켰고, 5년 뒤에는 ‘친박(親박근혜)계’가 박근혜정부를 출범시켰다.

이들 중 대부분은 대선 전에 ‘계파 공천’으로 자파 국회의원을 만든 뒤 대권 도전에 나섰지만, MB는 대권을 잡은 뒤 사후에 공천으로 보상해줬다. 2008년 18대 총선을 앞두고 벌어진 ‘친박 학살 공천’이 그와 관련돼 있다. 앞선 2007년 17대 대선에서 정권을 잡은 MB 측이 전리품으로 공천권을 챙긴 뒤 친이계 인사들에게 나눠줬다. 친박계 수장인 박근혜 의원은 “국민도 속고 나도 속았다”고 내뱉은 한마디가 ‘나비효과’를 일으켜 ‘친박 광풍’이 불기도 했다. 그럼에도 MB는 여타 대권주자들에 비해 최단 기간에 계파를 구축해 대권 도전에 성공한 사례로 꼽힌다. 뒤이은 총선이 4개월 뒤에 있었기 때문에 보상도 바로 이뤄졌다. 그에 비해 여타 주자들은 대권 재수(再修)·삼수(三修)를 거치는 동안 적어도 5년 이상 ‘헝그리 정신’으로 계파를 유지해야 했다.

2012년 19대 총선 때는 친이계를 겨냥한 친박계의 ‘보복 공천’이 단행됐다. MB정부 임기 중이었지만 정권 말기의 레임덕 때문에 공천 주도권은 친박계로 넘어간 상태였다. 계파 공천이 관철되고 친박계가 당내 최대계파로 득세하게 되자 박근혜 전 대통령의 대권가도에는 탄탄대로가 놓였다. 당내 친박계의 전폭적인 지지로 경선 관문을 통과한 뒤 그해 12월 대선에서 대권을 잡았다. 5년간의 와신상담(臥薪嘗膽) 끝에 얻은 결실이었다.

그러나 이후 박근혜 정권이 구사한 계파정치는 계파가 ‘양날의 칼’임을 보여주고 있다. 대권을 잡기 위해선 유용한 칼날이었지만 이후 정권의 단명을 재촉하는 독이 됐다. 계파 수장으로서 권한을 남용했던 박 전 대통령은 독단적인 국정운영으로 유승민 원내대표 체제와 정면충돌하면서 1차 파열음을 냈다.

한국당 관계자는 “박 전 대통령은 여당 지도부에 수직적인 당·청관계를 요구했고 당내 비판 목소리를 억눌러 아무도 견제하지 않는 권력이 됐다”면서 “그 바람에 최순실 국정농단과 같은 해악을 미연에 제거할 수 없었고, 정권 위기의 경고음을 스스로 막아버린 셈”이라고 진단했다.

2016년 20대 총선에선 유승민 의원과 그 측근들을 공천에서 배제하기 위해 자행된 ‘진박(眞朴) 공천’은 계파정치의 폐단을 보여준 결정판이었다.

정치권의 한 분석가는 “계파 수장인 대통령의 사감(私感)에 의해 공천의 향배가 좌우되고, 계파 의원들은 한마디 문제 제기 없이 수족처럼 움직이는 장면을 보면서 지지층은 보수의 천박한 민얼굴에 환멸을 느꼈을 것”이라며 “국민 뇌리에 남아있는 그때의 잔상을 말끔히 지울 수 있을 정도로 보수정당이 확실히 변한 모습을 보여주기 전에는 보수 지지층의 마음을 얻기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계파정치의 미래

한국당 내 최대 계파였던 친박계가 거의 와해된 상태에서 새로운 계파가 형성될지 주목된다. 현재로선 당권을 쥐고 있는 홍준표 대표의 ‘친홍(親홍준표)계’ 부상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아직은 미숙(未熟) 단계라는 게 일반적 평가다.

현재 한국당 내에서 홍 대표의 측근 인사로는 강효상 비서실장(비례대표 의원), 홍문표 사무총장, 장제원 수석대변인, 전희경 대변인(비례대표 의원), 경남도 행정부지사 출신인 윤한홍 의원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소수의 인맥이 계파로 성장하려면 홍 대표가 차기 대권주자로서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선결 과제다.

그런 의미에서 6·13 지방선거는 홍 대표에게는 대권으로 가기 위한 첫 관문이다. 그는 한국당 소속인 기존의 6개 광역단체장을 사수하지 못하면 당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공언했다. 6개는 영남권 5개 광역시장·도지사직과 인천시장직이다. 자리는 바뀔 수 있겠지만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에서 6개를 건져야 선전했다는 평가를 얻고 대표직 유지도 기대할 수 있다.

다행히 1차 관문을 통과하면 2020년 4월 21대 총선이 기다리고 있다. 역대 대권주자들의 선례를 따른다면 홍 대표도 자기 사람들이 최대한 많이 금배지를 달 수 있도록 도와 미래의 우군을 만들어둬야 한다.

그런데 홍 대표에게는 한 가지 불리한 점이 있다. 2017년 7월3일 당 대표에 오른 그의 2년 임기는 2019년 7월 초가 되면 끝난다. 그때부터 2020년 4월 총선까지는 9개월의 공백기간이 생긴다. 본인이 당 대표 연임(連任)에 도전하지 않는 이상, 무관(無冠)의 대권 후보로서 당 대표와 최고위·공천관리위 등이 주관하는 공천심사 과정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당 안팎에선 당 대표직을 자신의 대권 행보에 충분히 공감하고 물밑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인사에게 넘겨주는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당 대표 경선이 벌어지면 임기 2년에 따른 피로감 때문에 전임 대표와 차별화하는 후보가 득표력이 있기 마련”이라면서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전임과 같은 편에 있는 후보가 당선되기 위해선 홍 대표의 업적이 탁월하다든지 아니면 차기 대권주자로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식기자 kwonhs@yeongnam.com


Warning: Invalid argument supplied for foreach() in /home/yeongnam/public_html/mobile/view.php on line 400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