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60528.010110802130001

영남일보TV

“美, 내달 금리인상 가능성 커…국내 영향은 제한적일 듯”

2016-05-28

■ 전문가들 ‘계산기’ 두드려 보니

20160528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국내 증시에 들어온 외국인 투자금이 빠져나갈 우려가 높아진다. 이는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고, 투자심리를 얼어붙게 만들기도 한다. 여기다 국내 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렇게 될 경우 급격하게 늘어난 가계부채, 그중에서도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의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금융은 물론 국내 경제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국내 외환보유액이 이전보다 많고, 미국의 금리 정책이 국내에 영향을 미칠 때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는 만큼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적지 않다.


외국인 투자금 이탈…대출자 이자부담 예상되지만
외환보유액 많고 투자매력 높아 큰 영향 없어 전망
금리 동결 중인 韓銀 “국제 상황 지켜보고 대응” 입장



◆ 미국금리 인상되나

2015년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중기적인 물가 상승 우려와 함께 금리 정상화를 해도 경기 회복이 가능하다는 판단에 금리를 인상했다. 하지만 이후 중국 등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확산되면서 대외요인이 미국 경기 회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고려해 금리를 동결하고 있다.

하지만 6월에는 그동안 동결해온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난 4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로 6월 금리 인상에 동의하는 목소리가 커진 것으로 확인됐고, FRB 정책위원들도 금리 인상 지지 발언을 쏟아냈으며 경기지표도 호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거기다 포레스터밸류펀드의 ‘톰 포레스터’ 포트폴리오매니저는 지난 25일 미 경제방송 CNBC에 출연해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경기 하강에 단단히 대비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닷컴 버블’이나 2008년 금융위기 때 기준금리가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금리를 인하할 여지가 충분했다. 당장 침체가 시작된다면 인하할 만한 폭이 없다”고 강조했다. 톰 포레스터는 2008년 금융위기 때 엄청난 수익률을 올린 유일한 자산운용책임자 중 하나다.

기준금리 인상은 앞으로 다가올 경기 침체를 대비해 금리 인하에 필요한 실탄을 마련하려는 의도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어떤 목적에서든 6월 금리 인상의 가능성은 그만큼 커졌다는 것이다.

2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6월 글로벌 경제, 3대 불확실성 확대 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FOMC의 기준금리 인상여부와 석유수출국기구(OPEC) 총회,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에 대한 국민투표로 글로벌 경제의 불안요인이 커지고 있다. 이는 모두 다음 달에 그 결과가 나온다. 문제는 OPEC 총회와 미국 FOMC 회의, 브렉시트 국민투표 모두 결과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는 것이다.

내달 2일로 예정된 OPEC 총회에서 산유량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국제유가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고, 영국이 EU를 탈퇴할 경우 영국 기업은 그동안 관세 없이 거래했던 EU 회원국과 무역 통상 규정을 재협상해야 하며, 이는 영국과 EU 모두 교역을 위축시킬 가능성이 높다. 또 영국의 금융 안정성이 훼손되면 런던이 가진 글로벌 금융허브로서의 위상도 위협받을 수 있다. 거기다 다른 회원국도 EU를 탈퇴할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부담이다.

금리인상 여부가 결정나는 미국 FOMC 회의는 내달 14~15일에 열린다. 최근 미국 경기가 좋아지면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 특히 기준금리 결정의 주요 부문인 고용과 물가도 대체로 개선세를 지속하고 있다.

시장의 예상대로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달러 강세가 이어져 신흥국의 통화 가치 절하 등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우려가 있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다만 대외 수요 부진으로 수출 감소가 지속하고 있고, 투자 부진도 이어지고 있어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하지만 금리인상에 대비한 투자는 늘어나고 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한국은 물론 전 세계에 풀린 달러가 미국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아지고, 실제로 달러가 모이게 되면 달러가치가 올라간다.

이런 상황을 내다보고 벌써 달러 투자에 나선 이들도 적지 않다.

달러 값은 올해 들어 하락세를 보였지만, 달러예금에는 돈이 더 몰렸다. 향후 달러 가치 상승을 기대한 투자자들이 그만큼 많았던 셈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말 현재 국내 거주자의 달러 예금은 516억8천만달러(약 62조원)를 기록했다. 개인이 가입한 달러 예금은 68억1천만달러(약 8조원)로 지난해 말보다 5억8천만달러(약 7천억원) 늘어난 것이다.

◆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은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환율, 수출 등에서 한국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과거 미국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도 한국에서 대규모 외화유출은 없었고, 현재 한국의 거시건전성은 매우 양호한 수준이라는 것이 그 이유다. 거시건전성은 금융, 재정, 채권 등 분야의 부채를 줄여 정부와 주요 기관의 자산운용과 규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또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한국 기준금리도 완만한 상승이 예상되지만, 국내 경기 둔화를 고려하면 즉각적인 동반 인상은 없을 것으로 분석했다. 신용등급이 비슷한 다른 국가보다 한국의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데다 투자매력도가 여전히 높기 때문에 한국 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 유출 가능성이 낮다는 게 그 이유다.

국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으로 이 연구위원은 내다봤다. 그 근거로 2013년 5월 버냉키 전 미국연방준비이사회 의장의 양적완화 축소 시사 발언 이후 아시아 주요 신흥국의 주가가 급락하는 등 긴축발작(taper tantrum·선진국의 양적완화 축소 정책이 신흥국의 통화 가치와 증시 급락을 불러오는 현상)이 일어났지만, 한국은 예외였다는 점을 들었다. 현재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2015년 기준 3천680억달러로, 미국 금리 1차(1994년)와 2차(2004년) 인상 당시 257억달러와 1천991억달러보다 월등히 많은 상황인 점도 이런 분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하지만 미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면 국내 금리 인하는 어려울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은행은 지난 1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1.50% 수준으로 동결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2014년 8월과 10월, 지난해 3월과 6월에 각 0.25%포인트씩 내린 이후 11개월째 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과 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 등을 지켜보고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한국 경제는 수출부진과 디플레 위협에 노출되어 있기에 한국은행은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적지 않은 상황이었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가 오르고, 한은은 낮추면 글로벌 투자자금이 한국을 떠날 것이라는 우려가 커 인하할 여력이 사라져 버리게 된다는 것.

그럼에도 여전히 금리 인하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이들이 적지 않다. 2012년 이후 한국의 실질 정책금리는 주요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을 유지해오고 있고, 한국경제가 어려움에 처했다고 판단될 때에는 미국 정책방향과 다른 선택을 내린 경우가 많았던 만큼 연내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는 것이다. 윤성태 메리츠증권 대구금융센터 부장은 “미국의 금리인상 결정 이후 영국의 EU탈퇴 여부가 결정되는 만큼 그 결과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6월에는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노인호기자 sun@yeongnam.com


Warning: Invalid argument supplied for foreach() in /home/yeongnam/public_html/mobile/view.php on line 399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