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70818.010120735340001

영남일보TV

“고령화로 장기금리 하락·주가 상승”

2017-08-18 00:00

■ 고령화 금융산업 영향 전망
“수익성 추구로 펀드투자 늘고
부동산 등 실물자산 선호 지속”

고령화로 장기금리는 하락하고 주가는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또 부동산 등 실물자산 선호는 계속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은행 윤경수 금융안정국 차장 등은 17일 BOK경제연구에 실린 ‘인구고령화가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와 같이 내다봤다.

이에 따르면 고령화가 진전되면 장기금리 중심으로 금리가 내리고 수익성 추구 성향이 커지며 주가는 상승 압박을 받는다. 보험과 연금 수요가 늘어나는 등 가계 금융자산에도 변화가 생긴다.

현재 고령층은 보험과 연금 비중이 낮지만 중년세대는 노후에 대비해 이미 주요국 수준으로 늘리고 있다.

보수적인 우리 가계도 노년 초기에는 수익을 쫓아 펀드 투자 등 비중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나 유로 지역에서는 고령층에서 고수익을 추구하는 금융자산 투자가 활발하다. 주식투자 수요가 늘며 주가도 상승압력을 받겠지만 과도하게 오를 가능성은 크지 않다.

고령화는 2020년대 중반까지 가계부채를 늘리는 효과를 내겠지만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로 가계순자산 저축률은 상승한다. 국제패널자료와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해 분석하면 2035년에는 지난해 대비 1.6배 수준에 달한다.

국내 금융산업은 2020년대 후반까지는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보유자산이 많은 50대 후반 가구주가 늘어나며 2028년께 금융자산 규모가 최대치에 이를 전망이다.

장단기 금리차 축소와 고령화로 인한 저성장은 금융기관 수익성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은행산업에서는 이에 맞서 인수·합병을 통한 대형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보험과 연금 등에서는 운용 수익률 하락으로 고객 기대를 맞추기 어려워지므로 해외 투자에 관심을 키울 것으로 보인다. 가계 실물자산 편중 현상은 쉽사리 해소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국내 가계는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총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이 높으며, 앞으로 더 심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주택보유율이 높은 고령층이 늘어나며 임차가구 자산인 전월세 임차보증금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