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20809.010010740390001

영남일보TV

“보가 낙동강 녹조대란 불렀다”

2012-08-09

이정호 대구대 교수 “流速 느려져 녹조심화…주기적 물흐름 이뤄진다면 확산 없을 것”

20120809
낙동강 녹조현상이 확산되어 식수공급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8일 달성군 다사읍 대구상수도사업본부 매곡정수사업소에서 직원이 취수장에서 유입된 물의 조류 농도 측정을 위해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황인무 인턴기자 him7942@yeongnam.com

맹독성 녹조현상이 낙동강 전체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이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6월 말 창녕함안보 인근 칠서와 본포취수장에서 처음 발견된 낙동강 녹조현상은 합천창녕보와 달성보를 거쳐 7일 낙동강 중상류인 구미정수장 부근까지 확산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지역민은 독성물질의 식수원 오염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구미취·정수장의 경우 마이크로시스틴, 아나톡신 등 남조류 독성물질을 확인하거나 이를 걸러낼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이 지역 주민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이정호 대구대 교수(과학교육학부)는 “현재 한국수자원공사와 환경부에는 녹조현상을 막기 위한 매뉴얼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는 4대강 사업 시행 초기부터 집중적으로 제기됐던 문제다. 결국 보로 인해 강물의 체류시간이 길어지면서 녹조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올 들어 녹조현상이 심화된 가장 큰 이유로 4대강 사업에 따른 보 건설 때문에 강물의 흐름이 느려진 점을 꼽았다. 그는 “강물의 흐름만 주기적으로 이뤄진다면 강물 내부 순환과정을 통해 남조류 확산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했다.

이 교수는 녹조확산에 따른 정부 차원의 대응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정부는 한강과 낙동강 수계를 따라 녹조현상이 심화되자 보의 수문을 열거나 황토를 살포하는 등 임시방편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 이미 2월부터 녹조발생이 현실화됐지만 정부는 별다른 대응 매뉴얼을 내놓지 못했다.

4대강 살리기사업으로 조성된 달성보의 경우 담수를 시작한 직후인 지난 2월 초 녹조현상이 발생했다. 당시 국립환경과학원은 2월21일 오후 5시를 기해 달성보 내 수질에서 클로로필-a 농도가 117㎍/ℓ를 기록했다며 수질예보상 주의단계를 발령하기도 했다. 당시 겨울철 녹조현상은 달성보를 시작으로 강정고령보, 칠곡보, 구미보까지 확산됐다.

이 교수는 “수자원공사 등 관련당국의 대책이 근시안적이다. 특히 황토 살포는 녹조 억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심리적 눈가림에 불과하다”며 “수질검사에 대한 각종 결과도 숨기지만 말고 공개해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시켜야 한다. 정보 공개를 통해 학계나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태풍이 일거나 많은 비가 내리지 않는다면 녹조현상은 9월 하순까지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지금부터 단기적인 대응매뉴얼을 만들어 적극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경열 인턴기자 bky@yeongnam.com

정재훈 인턴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