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대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 인터뷰
![]() |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협력위원으로 위촉된 김시범 안동대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 |
문화체육부는 최근 '지역문화협력위원'을 위촉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 문체부 장관 주재로 열린 회의는 향후 윤석열 정부가 보여줄 지역문화정책의 잣대가 될 것으로 관심을 모은다.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른 법정위원회인 회의는 앞으로 지역문화와 관련한 전반적인 부분을 심의한다. 안동대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김시범 교수는 14명의 민간위원의 일원으로 회의에 참여했다. 임기는 2년이다.
김 교수는 첫 회의에 참여한 소감에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 및 국정과제에 지역문화 활성화가 있다. 다만 대통령은 구체적 내용은 권역별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는데, 이 말이 지역이 가진 특수성과 차별성·다양성을 인정하겠다는 것이라면 바람직하겠지만 아직 어떻게 해야할 지 정리가 안돼 앞으로 들어보겠다는 것이라면 조금 아쉬움이 남는다. 어찌됐든 지역문화는 앞으로 점점 더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 질 것"이라고 소개했다.
사실 지역문화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지방문화' '지역문화' 등의 단어가 혼용돼 쓰이는 등 제대로된 관심과 학술적 정립은 아쉬운 상황이다. 김 교수는 "학계, 예술, 행정 등 각자가 처한 입장에 따라 로컬의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이 사뭇 다르다. 지방이냐 지역이냐 역시 마찬가지인데, 지방문화라는 말이 중앙정부에 대한 대칭의 개념으로 쓰여진다면 지역문화라는 말에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역시 하나의 지역으로 바라보는 다양성의 입장이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가 생각하는 새정부가 갖춰야 할 지역문화 정책은 무엇일까. 김 교수는 "음식을 먹더라도 하나만 먹지 않고 여러가지 영양분을 섭취해야 건강한 것처럼 다양한 문화를 인정할 수 있는 문화가 필요하다. 모든 지역이 붕어빵처럼 똑같은 문화를 강요당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에 기반을 두고 각자의 문화가 가진 동질성과 매력을 인정하는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전국 문화계의 관심사는 단연 '문화도시' 사업이다. 정부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국에 약 30개의 문화도시를 지정, 5년간 200억(국비 100억)의 사업비를 지원하고 있다. 전국 지자체들이 너도나도 사업에 뛰어들었는데, 대구시도 2019년 광역지자체 중 처음으로 사업신청서를 낸 것을 비롯해 중구·남구·북구·수성구·달서구·달성군 등 6개 기초지자체도 신청장을 내밀어 모두 탈락했다. 현재는 한차례 고배를 마신 달성군이 재도전에 나선 상황이다.
문화도시 사업의 심사위원을 역임한 김 교수는 "전국 지자체 절반 이상이 사업에 뛰어들었을 정도로 관심이 뜨겁다. 하지만 이 사업의 취지는 지자체장이나 중앙정부가 지역의 문화를 결정짓는 것이 아니라 주민들 스스로가 더 나은 삶을 위한 계획을 짜고, 여기에 행정과 문화예술인이 참여하면서 주민주도형 지역문화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당수 지자체들이 취지에 부합하는 내용이 아니어서 안타까웠다"고 지적했다.
김은경기자 enigma@yeongnam.com

김은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