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418010002280

영남일보TV

[사설] 음악인들을 시위하게 만든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대구

2023-04-19

대구의 음악인들이 내일부터 시위를 한다. '음악인 시위'는 생경한 풍경이다. 대구는 물론 전국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들다. 최근 종교 편향 논란으로 대구시립교향악단·합창단의 베토벤교향곡 '합창' 공연이 무산된 데 따른 항의 표시다. 종교 편향 시비는 처음이 아니다. 종교단체의 압박으로 대구에서 공연 곡 선택이 제약받거나 음악인의 징계 및 교체의 배경이 된 적이 허다했다.

반문화적 대구시 조례부터 바꿔야 한다. 시립예술단의 경우 공연 전에 종교화합자문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의결 조건이 특이하다. 만장일치제다. 지나치게 경직된 규칙이다. '자문'에 그쳐야 할 자문위의 위상에서도 심하게 일탈한 권한 부여다. '합창' 공연 무산도 9명의 자문위원 중 1명이 반대해 생긴 일이다.

무엇보다 음악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 못 한 사태다. 예술은 태생부터 종교와 밀접히 교감하며 발전해 왔다. 작품 활동을 종교 차원에서 거부하는 건 편협하다. 유럽연합의 공식 국가(國歌)인 '합창'에 '공연금지' 딱지를 붙인 건 세계적 조롱거리다. 대구시가 만장일치제의 변경을 추진하는 것 같지만, 이참에 종교화합자문위의 권한을 '자문'에 제한하거나 '위원회 폐지'도 검토해야 한다.

대구는 2017년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로 선정됐다. 대구국제오페라축제 등 대구가 보유한 음악 콘텐츠의 힘이었다. 수도권을 제외한 가장 많은 음악 인구와 전공자를 보유한 도시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근대음악의 태동지로서 1호 클래식 감상실 '녹향'이 문을 연 곳이며, 6·25전쟁의 와중에 '폐허 속 바흐의 음악이 들리는 도시'로 외신에 묘사된 대구였다. '닫힌 사회' '열린 사회', 대구는 어느 쪽으로 가고 있는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