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무관심 속 해당 읍면창고에 1년째 방치 '눈살'
읍면에선 군 처리지침 하달 요구
해당부서, 뒤늦게 현황파악 나서
![]() |
읍면 창고에 포장지도 뜯지 않은 상태로 1년째 방치된 마스크가 든 상자가 산더미같이 쌓여있다. |
경북 청도에서 지난해 지방선거때 공무원 선거 개입 의혹을 일으켰던, 1만여 장에 달하는 고가의 마스크가 1년이 지났지만 해당 읍면 창고에 그대로 방치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주무부서에서 뒤늦게 현황 파악에 나섰다.
2일 청도군 등에 따르면 읍면 창고에 방치된 마스크는 지난해 5월 군수 선거가 한창이던 때 청도의 한 마스크생산업체가 읍면 65세 이상 군민을 대상으로 기증하려는 과정에서 관권선거 개입 의혹으로 번져 문제가 됐다.
당시 일부 읍면에서는 관권 시비 논란을 의식해 마스크 수령을 거부했지만 다수 읍면에서는 마스크를 수령한 뒤 배포과정에서 논란이 불거지자 포장상자도 뜯지 않은 채 그대로 창고에 보관했다.
당시 경찰은 내사에 착수했지만 사건 발생 초기 단계에서 적발돼 뚜렷한 혐의점을 찾지 못하고 종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선거 이후 마스크 논란은 공무원과 언론 등의 관심에서 멀어졌으며 1년이 지난 지금도 읍면 창고에 그대로 방치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읍장은 "수천장의 마스크가 창고에 보관돼 있다는 사실을 까맣게 잊고 있었다"며 "마스크 처리에 대한 업무 지침이 없어 처리방안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1천600여장의 마스크를 창고에 보관 중"이라고 밝힌 B면장도 "당시 선거 과정에서 워낙 민감한 사안이었던 만큼 군에서 일괄처리 지침을 내려주면 좋겠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군 해당 주무부서 관계자는 "당시 마스크는 해당 업체에 반납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해당업체에서 정상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읍면으로 바로 기증했기 때문에 군에서는 현황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다. 업체에서도 연락온 것이 없었다. 우선 현황파악부터 하겠다"고 밝혔다.
글·사진=박성우기자 parksw@yeongnam.com

박성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