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 압축 이르면 이달 최종 선정
DGIST 역할 재정립 여론 팽배
디지스트(DGIST) 총장 인선에 내부 구성원은 물론 지역 정치권도 주목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출범으로 디지스트의 발전 전기를 맞은 만큼 지역 정서를 이해하고 대외활동력을 갖춘 인사가 총장이 돼야 한다는 공감대는 형성된 상태다.
디지스트는 지난 5월 8일 총장 후보 신청접수를 마감하고, 서류심사를 거쳐, 3명으로 압축했다. 현재 이들 3명의 후보에 대한 인사 검증이 진행 중이며, 이르면 이달 중 이사회를 개최해 최종 1인을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회는 선정된 최종 후보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승인을 요청하게 된다.
그동안 디지스트 총장은 지역 사회와 제대로 융화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 국양(4대) 총장은 물론 역대 총장이었던 신성철(1·2대), 손상혁(3대) 모두 재임 기간 지역 사회와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하지 못했다는 소리를 듣고 있다. 지역 정치권과의 교류도 부족해 정부로부터 적극적인 지원을 받지 못했다.|
대구의 한 의원은 "디지스트는 국가 핵심기술 개발과 지역 산업 발전이란 두 가지 목적을 갖고 출범했다. 이런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인물이 차기 총장이 되어야 한다"며 "지역 사회와 기업에 대한 애정을 갖고, 적극적으로 뛰어 줄 인물이 필요하다. 그래야 윤석열 정부에서 디지스트가 더 큰 발전을 이룰 수 있다"라고 말했다.
경북의 한 의원도 "현재 디지스트는 성장과 쇠락의 갈림길에 있다. 5대 총장은 지역사회와 함께 갈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 정치권과 협력해 더 많은 예산을 받고, 지역 기업과도 다양한 R&D를 과감히 추진할 수 있는 인물이 절실하다"라고 했다.
디지스트 내부에서도 연구 논문 중심의 학생 교육기관에서 벗어나 지역 사회를 도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첨단기업을 키우고 지역 인재들이 남을 수 있는 일자리 여건을 조성하는 것은 물론, 인구절벽 해소에도 기여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대학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현 총장의 경우 대구·경북 지역을 아우르는 대외 활동에 소극적이어서, 이런 흐름이 장기화되면 디지스트를 지역사회에서 고립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대구경북 지역에 대한 애착이 있고,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역 출신인 상황을 디지스트가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당위성이 힘을 얻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디지스트의 한 구성원은 "대학의 명문화도 중요하지만 지방이 인구절벽, 소멸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지역에 누구보다 애착을 갖고, 지역과 같이 살아나가겠다는 포부가 있는 인물이 제5대 디지스트 총장이 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지역 정치권 일각에선 디지스트 총장 인선이 내년 총선 공천의 바로미터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윤석열 정부 탄생의 산파 역할을 한 지역 정치권이 TK 정서를 이해하는 총장을 강력히 요구했음에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내년 4월 총선 공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임호·이효설 기자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