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713010001676

영남일보TV

[사설] 한은 고육책 금리동결… 경제정책 '운영의 묘' 살려야

2023-07-14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3일 기준금리를 3.50%로 묶었다. 2·4·5월에 이은 네 번째 동결이다. 21개월 만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떨어진 데 다 새마을금고 사태에 따른 금융경색 우려, 성장 하방 위험을 감안한 조치로 판단된다. 다만 금통위는 0.25%포인트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금리인하는 물가 상승률 2% 수렴을 확신할 때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매파적 동결"이란 평이 나오는 이유다.

한은의 금리동결에 따라 정부 경제정책은 더 고차적 접근이 필요해졌다. 예컨대 가계부채만 본다면 금리를 인상하는 게 맞다. 주택담보대출이 지난달에만 7조원 늘어나면서 가계대출 잔액은 1천62조원을 상회했다. 사상 최대다. 한미 금리 격차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26일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만 밟아도 금리 차는 2%포인트까지 벌어진다. 환율 상승과 외국인 자금유출 압박이 가중된다는 의미다.

우선은 주요국의 통화정책, 금융 리스크,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성장 기조 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 정부의 올해 성장 전망치는 1.4%에 불과하다. 잠재성장률 2.0%에 한참 못 미친다. 그렇더라도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인하나 확장재정은 불가능한 처지다. 다른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이를테면 노동개혁과 규제개혁, 정책혁신 같은 것들이다. 하지만 주 52시간 개편 논의는 지난 3월 이후 침잠한 상태다. '주 69시간 근로' 프레임에 걸리면서 동력을 잃었다. 노동 유연화와 함께 제조업을 고양할 규제개혁을 서둘러야 한다. 금융 부문의 뇌관 제거는 당장의 과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