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 드디어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을 품었다. 경제성 부족과 산업계 수요 반영 미흡 등의 이유로 1차 도전 때 고배를 마신 쓰라린 경험을 거울 삼아 재심 끝에 23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것이다. 대구테크노폴리스 연구용지(달성군 유가읍)에 5만평 규모로 조성될 이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 대구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미래 주력산업으로 각광받는 로봇산업의 혁신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시장 분석 및 동향 파악과 함께 철저한 준비를 통해 글로벌 로봇도시로 발돋움해야 한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은 국내 로봇업계가 주목해온 대형 국책사업이다. 국비 1천305억원을 포함, 총사업비 2천억원 정도가 투입돼 2024~2028년 진행된다. 국가 차원의 대규모 로봇 실증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 로봇 산업화 촉진 및 해외진출 지원이 목적이다. 이 사업이 결실을 볼 수 있었던 것은 대구시의 노력에다, 각각 정부 국정과제화와 재심을 위한 보완작업에 적극 나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홍석준 국회의원의 조력이 한몫을 했다.
이제 공은 대구로 넘어왔다. 노력 여하에 따라 쥘 수 있는 열매의 크기가 달라진다. 대구는 자동차부품을 비롯, 기계·금속 등 제조분야에서의 역량이 이미 검증된 도시다. 국내 유일의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대구에 위치해 있고 산학협력 자원이 풍부한 데다, 국내 1위(HD현대로보틱스)와 세계 3위(야스카와전기) 로봇기업을 포함, 200여 개의 로봇 관련 기업이 집적돼 있는 등 최고 수준의 로봇산업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 고부가가치 글로벌 로봇시장을 선점하고 리드하기 위해서는 대구시의 의지와 함께 산·학·연의 유기적인 협력관계가 절실하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은 국내 로봇업계가 주목해온 대형 국책사업이다. 국비 1천305억원을 포함, 총사업비 2천억원 정도가 투입돼 2024~2028년 진행된다. 국가 차원의 대규모 로봇 실증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 로봇 산업화 촉진 및 해외진출 지원이 목적이다. 이 사업이 결실을 볼 수 있었던 것은 대구시의 노력에다, 각각 정부 국정과제화와 재심을 위한 보완작업에 적극 나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홍석준 국회의원의 조력이 한몫을 했다.
이제 공은 대구로 넘어왔다. 노력 여하에 따라 쥘 수 있는 열매의 크기가 달라진다. 대구는 자동차부품을 비롯, 기계·금속 등 제조분야에서의 역량이 이미 검증된 도시다. 국내 유일의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대구에 위치해 있고 산학협력 자원이 풍부한 데다, 국내 1위(HD현대로보틱스)와 세계 3위(야스카와전기) 로봇기업을 포함, 200여 개의 로봇 관련 기업이 집적돼 있는 등 최고 수준의 로봇산업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 고부가가치 글로벌 로봇시장을 선점하고 리드하기 위해서는 대구시의 의지와 함께 산·학·연의 유기적인 협력관계가 절실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