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왕경 형성과 변천 과정 밝히기 위해 토기의 형식 변화 중요
![]()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신라 왕경 토기 문화의 흐름과 변화' 학술대회 포스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31일 경주 보문관광단지 내 라한셀렉트 경주에서 ‘신라 왕경 토기 문화의 흐름과 변화’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학술대회는 삼국통일을 전후로 신라의 중심부인 왕경에서 출토되는 토기의 시간적 흐름과 변화상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했다.
고대 도시 유적인 신라 왕경의 형성과 변천 과정을 밝히기 위해서는 고고학에서 시간적 지표로 삼는 토기의 형식 변화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신라 고고학에서 토기는 주로 4~6세기의 무덤 출토자료를 중심으로 이뤄져 왔으나, 건물터 등에서 나오는 7~10세기의 토기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다.
기조 강연은 최병헌 숭실대 명예교수가 '신라 왕경기 토기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약 50년간 신라 토기를 연구해온 내용을 공유한다.
학술대회 주제발표에서 조성원 전 부경대 교수가 '신라 왕경 출토 토기 연구에 대한 단상’을, 차순철 <재>서라벌문화재연구원 조사단장은 '신라 왕경 출토 토기 기종 명칭 문제와 표준 형식 설정’을, 한혜선 이화여대 교수는 '신라 왕경 토기에서 고려 도자기로의 전환 양상’ 등을 각각 발표한다
이어 이성주 경북대 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자와 토론자 등이 참석해 신라 왕경 토기에 대한 폭넓은 의견을 주고받는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학술대회는 현장에서 등록 절차만 거치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학술대회 내용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https://www.youtube.com/@user-wg7bt1ue5h)에 게재할 예정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도 신라 왕경의 변화 과정과 관련한 기초 연구를 지속해서 추진하고, 그 성과를 국민과 함께 공유하기 위한 학술행사를 진행한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