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중인 인천 검단아파트 외벽서 철근 70% 빠져
LH, 사실 알고서도 입주민에 공개 않고 보강 공사
![]() |
아파트 지하주차장 기둥에서 전단 보강 철근이 누락된 것으로 확인된 충남 공주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공주월송 A4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제공> |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무량판 구조 아파트에서 철근 누락 사실이 대거 드러난 데 이어 벽식 구조 아파트에서도 철근이 빠진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특히 LH는 이 사실을 알고도 입주 예정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몰래 보강 공사를 진행해온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예상된다.
25일 LH 등에 따르면 LH가 인천 검단신도시에 건설 중인 한 공공분양 아파트 건물에서 외벽 철근이 대량으로 누락된 사실이 확인됐다. 철근이 누락된 지점은 이 단지의 전체 13개 동 가운데 4개 동의 지하 벽체 부분 6곳이다.
누락된 철근은 원래 들어가야 하는 양의 70%에 이른다. LH는 애초 철근 누락 규모를 '30%가량'으로 밝혔다가 이를 다시 '70%'라고 정정했다.
벽식 구조인 아파트에선 외벽이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규모 철근 누락은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같은 사실이 확인된 것은 지난 6월 말로, 감리원이 시공 중 확인해 LH의 현장감독에게 알리면서 LH 내부까지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LH는 철근 누락이 설계 단계부터 발생했다며 "설계업체도 이를 시인했다"고 밝혔다. 구조 도면 작성 시 설계 오류가 발생했다는 설명이다.
2025년 6월 입주 예정인 이 단지의 공정률은 약 30%로, 철근 누락이 발견된 4개 동은 발견 당시 지하층 골조 공사가 완료된 상태였다.
LH는 철근 누락을 확인한 뒤 자체 보고 등의 절차를 걸쳐 지난 11일부터 뒤늦게 보강 공사를 진행 중이다. 보강 공사는 약 2개월이 소요돼 11월 중순쯤 마무리될 전망이다. LH는 보강 공사 후 별도의 안전 점검을 실시해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됐는지를 점검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LH가 이 과정에서 입주 예정자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사전에 알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또한 무량판 구조가 아닌 아파트 외벽에서도 철근 누락이 확인되면서 외벽을 대상으로 한 추가 조사 필요성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