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일 경주문화관 1918에서 작품 50여 점 선보여
경주지역 삼전(三殿) 등과 남한산성 침괘정 등 다양
![]() |
3일 경주문화관 1918에서 열린 손원조 전 경주문화원장의 펜화전 '펜과 만난 전통 건물' 개막식에서 참석자들이 개막 기념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손원조 경주벼루박물관장 제공> |
![]() |
손원조 전 경주문화원장이 펜화전 '펜과 만난 전통 건물' 개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손원조 경주벼루박물관장 제공> |
손원조 경주벼루박물관장(전 경주문화원장)이 '펜과 만난 전통건물'이란 주제로 펜화 전시회를 열고 있다.
3일 시작된 전시회는 15일까지 경주문화관 1918(옛 경주역)에서 이어지며 펜으로 그린 그림 50점이 소개된다.
작품은 경주지역 문화재급 목조 건물인 숭덕전·숭혜전·숭신전 등 삼전(三殿)과 숭무전·육부전·표암전 등을 그린 펜화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양동마을 관가정·옥산서원 무변루 등과 경주지역 대표 서원 건물 등도 펜화로 담아냈다.
또 강릉의 임영관 삼문(三門)과 안동 병산서원의 만대루, 전남 강진의 다산초당, 경기도 광주 남한산성 침괘정 등을 그린 작품도 있다.
손 관장은 경주 출신으로 1970년대 초부터 영남일보 등 신문과 방송에서 35년간 기자로 근무했다.
서라벌신문을 복간해 발행인·편집인을 맡았다.
지난 2019년 경주읍성 인근에 경주벼루박물관을 개관해 운영하고 있다.
제6대 경주문화원장을 지낸 손 관장은 2010년대 초 민화에 입문해 제43회 경북도전에서 특선했고, 펜화로 제43회 신라미술대전에서 특선을 받은 바 있다.
손 관장은 "많은 세월을 투자한 것도 아닌데 남에게 선보이게 돼 부끄러움이 앞선다"며 "세월 따라 나이를 먹다 보니 건강을 돌봐야 함에 치매 예방책으로 펜화를 배우게 됐다. 정성 들인 작품들이 모였기에 전시회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송종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