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하는 모든 게 다 있다는 유튜브 등 온라인 플랫폼에 조직폭력배 관련 동영상까지 범람하고 있다. 유튜브에서 '조폭' '건달' '깡패'를 키워드로 검색하면 관련 동영상이 수천 개가량 올라와 있을 정도다. 국회 국정감사 관련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전국 시·도경찰청이 지난해 9월 한 달간 전수조사해 파악한 이른바 '조폭 유튜버'는 11명이다. 2019년 3명에 불과했지만 4년 새 크게 늘어났다. 지금은 더 늘었을 것이다. 이는 모방 범죄를 부추기는 것은 물론 판단력이 부족한 청소년들에게 폭력 등 불법행위를 미화시킬 우려가 크다.
이들 유튜버는 대부분 전직 조폭 출신이다. 영상에서 조폭 입문 과정을 비롯해 공갈·협박·난투극 등 각종 범죄담을 늘어놓는다. 심지어 과거 자신의 구치소 경험담을 콘텐츠로 해 구독자를 끌어 모으기도 한다. 방송에서 흉기를 꺼내 보이는 것도 예사다. 이 같은 영상은 조회 수가 수백만에 이르며 후원금도 잇따른다. 기가 찰 노릇이다.
휴대폰만 켜면 성인들도 보기에 섬뜩한 폭력적 영상이 화수분처럼 쏟아져 나오는 세상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해당 영상만으론 현행법상 제재를 가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렇다고 관계 당국이 손 놓고 있어선 안 된다. 조폭 영상은 사회악으로 번질 개연성이 크다. 제동을 걸 법·제도의 손질이 불가피하다. 독일에선 범법 요소가 있을 경우 SNS 사업자에게 제재를 가하고 있다. 해외 사례를 꼼꼼히 벤치마킹해 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청소년이 조폭 영상을 접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안전장치를 새로 마련해야 한다. 조폭 영상이 청소년에게 미칠 폐해는 아무리 경고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들 유튜버는 대부분 전직 조폭 출신이다. 영상에서 조폭 입문 과정을 비롯해 공갈·협박·난투극 등 각종 범죄담을 늘어놓는다. 심지어 과거 자신의 구치소 경험담을 콘텐츠로 해 구독자를 끌어 모으기도 한다. 방송에서 흉기를 꺼내 보이는 것도 예사다. 이 같은 영상은 조회 수가 수백만에 이르며 후원금도 잇따른다. 기가 찰 노릇이다.
휴대폰만 켜면 성인들도 보기에 섬뜩한 폭력적 영상이 화수분처럼 쏟아져 나오는 세상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해당 영상만으론 현행법상 제재를 가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렇다고 관계 당국이 손 놓고 있어선 안 된다. 조폭 영상은 사회악으로 번질 개연성이 크다. 제동을 걸 법·제도의 손질이 불가피하다. 독일에선 범법 요소가 있을 경우 SNS 사업자에게 제재를 가하고 있다. 해외 사례를 꼼꼼히 벤치마킹해 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청소년이 조폭 영상을 접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안전장치를 새로 마련해야 한다. 조폭 영상이 청소년에게 미칠 폐해는 아무리 경고해도 지나침이 없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