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회별신굿탈놀이<안동시 제공> |
경북 안동시와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가 오는 12월 1일과 2일 하회마을 하회별신굿탈놀이 전수교육관에서 '하회별신굿탈놀이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술대회는 지난 2022년 11월 30일 모로코 라바트에서 열린 제17차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지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1973년 창립된 하회가면극연구회(현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50주년을 맞아 의미를 더한다.
이번 1주년 기념행사는 '인류무형문화유산' 현판식과 함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의 의미와 과제'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장을 지낸 서연호 고려대 명예교수가 '하회탈춤 현지답사기'라는 기조 강연을 한다.
하회별신굿탈놀이 복원과정(1977년)부터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초기(1986년)까지 과거의 하회별신굿탈놀이의 모습을 소개하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의 의미와 가치를 이야기한다.
기조 강연에 이어 1부에서는 최종호 한국전통문화대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아 '탈 문화 확산을 위한 학술적 담론'이라는 주제로 토론한다.
전경욱 고려대학교 교수가 '아시아 가면극 속에서 하회탈의 다양성과 특징', 허용호 경주대학교 교수가 '가까운 과거의 하회별신굿탈놀이 존재 양상과 미래 전승 전망', 권두현 문화재청 무형문화재분과 전문위원(전 안동축제관광재단 사무처장)이 '하회별신굿탈놀이, 마을 탈춤에서 인류의 탈춤이 되기까지'를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2부에선 전북대학교 김형근 교수가 '전승자의 목소리-하회가면극연구회 50년의 궤적'이라는 주제로 현장 전승자들과 좌담을 벌인다.
3부에서는 <사>한국축제포럼 회장인 고려대학교 안남일 교수가 '미래발전을 위한 모두의 지혜'라는 주제로 7명의 전문가와 함께 토론을 진행한다.
토론에 참여하는 전문가는 △정책 분야에 문화재청 이재필 무형문화재과장 △문화재 분야에 대구국악협회 김신효 회장 △보존회에선 한국전통줄다리기전승단체연합회 정석용 사무국장 △국제화 부문은 부산대학교 CedarBough T. Saeji 교수 △학교 교육에서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박인수 교수 △축제는 한국정신문화재단 김주호 축제팀장 △지역화 관련은 손상락 세계유산 하회마을연구소장이 각각 참여한다.
김오중 하회별신굿탈놀이 보존회장은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상설공연과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시작된 1997년부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과 함께 안동 관광의 킬러 콘텐츠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지역 문화·관광 발전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의 문화유산이 된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우리 민족만이 아니라 인류 전체가 지켜내어야 할 보편적 가치로서 전 지구촌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도시 안동의 위상을 더욱 높여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