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관객이 스마트워치로 영화 '서울의 봄'을 보며 스트레스 지수를 체크해 업로드 한 장면. 인터넷캡처 |
흥행과 더불어 '서울의 봄 챌린지'도 유행하고 있다. 이미 역사에 기록됐듯 전두환의 신군부 반란군 세력이 반란에 성공한다. 다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화가 난다는 것인데, 스마트워치로 심박 수와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해 SNS에 인증샷으로 올리는 것이다. 네티즌들은 "결말 알고 봐도 피꺼솟('피가 거꾸로 솟는다'의 줄임말)" "후반으로 갈수록 더 화난다"는 등의 글을 남겼다. 또 다른 네티즌은 "돈 주고 스트레스 샀다"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
![]() |
영화 '서울의 봄'의 한 장면.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
"어려운 시국에 서로 같은 편 하면 큰 힘이 되고 그럴 텐데." "대한민국 육군은 다 같은 편입니다." '서울의 봄'에서 대립각을 세우는 두 주인공이 나누는 대화다. 실제로 나라 안팎은 어려운 시국이다. 한국 정치는 성별·지역·세대로 갈라치기 하며 팬덤은 서로를 극단으로 몰아세운다. 탄핵안 연발과 막말의 연속…. 게다가 정쟁에만 몰두하다 예산안 처리 법정시한도 한 차례 넘겼다. 여당과 야당이 같은 편이 되지 못하고 큰 힘이 되지 못한다. 정부여당의 눈치를 보다 자신이 발의한 법안을 스스로 반대하는 황당한 일도 일어나고 있다. 민심과 민생은 정치인 개개인의 욕심과 당리당략 앞에선 뒷전인가. 국민 앞에선 대한민국 정당은 다 같은 편이야 하는 것 아닌가. 어려운 시국이다. 혹시 모른다, '서울의 봄'처럼 현재가 누군가에겐 스트레스 지수를 확인하게 될 역사로 남을지.
박준상기자 junsang@yeongnam.com

박준상
디지털뉴스부 박준상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