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9일 경북도청 창신실에서 열린 대구경북 행정통합 TF 2차 회의에 참석한 대구경북 실무진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경북도 제공 |
다음 달 4일로 예정된 대구·경북 행정통합 4개 기관장 회동을 앞두고 대구시와 경북도 실무진들이 29일 경북도청에서 만나 4자 회동 주요 과제를 검토·조정했다.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은 다음 달 4일 서울 정부합동청사에서 만나 대구·경북 통합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추진 방향, 정부 차원 지원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에 대구시·경북도 실무진들은 지난 23일 1차 회에 이어 엿새만인 29일 도청에서 다시 만난 4개 기관장 회동에서 논의될 대구·경북 통합의 △기본 방향 △추진 내용 △범정부적 협력·지원 체계 및 방안 등에 대해 중점 협의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양적 통합을 넘어선 '질적 통합'과 '완전한 자치형태'의 광역 통합을 이루기 위해 중앙정부의 강력한 협력과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의지를 재차 확인하고, 양측의 제안을 실무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조율했다.
그동안 홍 시장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통해 수도권 일극체제에 맞서는 인구 500만명의 비수도권 신성장 거점을 조성하고 더 나아가 광주·전남을 아우르는 남부경제권을 구축해 국토균형발전을 실현하는 출발점이 될 것"임을 강조해왔다.
이 도지사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완전한 자치권 확보를 통해 지방시대를 열어 저출생을 극복하고 초일류국가로 대한민국이 다시 도약하기 위한 국가적 과제"라는 점을 강조했다.
따라서 이날 실무단 회의에서는 4자 회동에서 강력한 협력 지원 의지 확인과 함께 통합 시·도에 대한 적극적인 인센티브가 제시될 경우 이후 통합 절차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그에 대한 추진 체계를 포함한 관련 절차와 내용에 대해 세부적으로 협의했다.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4대 기관 간담회(4자 회동)가 역사적인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본격 추진하는 계기와 큰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실무적 협의와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향후 대한민국 행정체계 개편과 국가균형발전의 모범사례가 되도록 실행가능성을 높이고, 속도감을 더해 가겠다"고 말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