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표 "의견 수렴" 숨고르기
'대선 1년전 사퇴' 개정도 추진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대표 연임론이 무르익고 있다.
강성 권리당원 등을 중심으로 거대 야당을 이끌 대안이 이 대표 외에는 마땅치 않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며, 연임 반대 목소리는 소수 의견으로 힘을 잃어가고 있다. 특히 민주당이 대선에 출마하려는 당 대표의 사퇴 시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현행 당헌·당규에 따르면 당 대표나 최고위원이 대선에 출마하면 대선 1년 전 사퇴해야 한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를 '당무위 의결로 당 대표 사퇴 시점을 정할 수 있다'는 예외 규정을 두려고 한다. 이 대표가 연임에 성공하면 2026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까지 행사한 뒤 대선 준비가 가능해진다. 지난 4일 민주당 정청래 최고위원은 유튜브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이 대표가 연임하는 것이 정권 탈환의 지름길"이라고 연임론에 힘을 실었다.
당 내 공개적인 반발 기류는 없는 상태다. 다만 친명(친이재명)계 의원이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상명하달식 의사결정 방식에 불만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 대표는 당헌·당규 개정 절차를 늦추고 "당내 의견을 수렴하고 경청하겠다"면서 직접 소통에 나섰다. 이 대표는 지난 3일 박지원·김태년·안규백·윤호중·정성호 등 5선 의원들과 오찬 회동에 이어 4선 의원들을 만났다. 3선 이하 의원들과도 잇따라 만남을 가지고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물밑에선 당헌·당규 개정을 두고 불만이 있지만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출하기엔 부담감이 큰 상황이다. '소장파'로 불리며 이 대표에 거침없는 쓴소리를 쏟아낸 의원 상당수가 4·10 총선 과정에서 낙천되거나 배제됐기 때문이다. 친명계인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BBS라디오 '함인경의 아침저널'에서 "전체적인 공론화 작업을 할 것"이라며 "이 대표도 의원들과 만나서 당헌·당규 개정이 시대에 맞는 것인지 등을 두고 좋은 안을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