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비대위 13일 당원 투표 80·일반 국민 20% 결정
단일지도체제 유지 결정에 한동훈 출마 가능성 무게
개정안 19일 상임전국위원회·전국위원회 거쳐 확정
![]() |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정점식 정책위의장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이 전당대회에 적용할 경선 규칙을 당원 투표 8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로 변경하기로 했다.
단일 지도체제를 유지키로 하면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출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13일 오전 회의를 열고 국민 여론조사를 전당대회에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현행 전대 룰은 당원 투표로만 당 대표를 선출하도록 돼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원 투표 100%을 도입했지만 총선 참패 이후 새 지도부 선출 과정에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를 통해 룰 변경에 나섰고 당심 80%·민심 20%안과 당심 70%·민심 30% 안으로 압축한 후 이날 민심 20% 반영으로 결론 내렸다. 민심을 50%까지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지만 당원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반박이 나오면서 당심을 민심보다는 높게 설정했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선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어 민심 왜곡을 최소화하는 장치도 마련하기로 했다.
김민전 수석대변인은 "비대위원 다수가 '80%-20%' 안을 선호했다"면서 "(민심 비중을 한꺼번에) 크게 움직이는 것이 제도의 안정성을 무너뜨리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당헌·당규개정특위는 당대표가 당의 인사와 조직, 예산에 대한 전권을 갖는 현행 '단일 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정치권에선 현행 단일지도체제가 유지되는 점은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에 무게를 더하는 요소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간 특위에서는 2인 지도체제, 승계형 단일지도체제 등 집단체제에 관한 논의가 있었고, 한 전 위원장 견제용이라는 해석이 붙기도 했다. 당내 기반이 약한 한 전 위원장이 다른 전당대회 출마자와 지도부를 꾸릴 경우 원활한 당 운영이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많았다.
일각에서는 전당대회 룰과 지도체제 변경 여부와 상관없이 '어대한'(어차피 대표는 한동훈)으로 판세가 굳어지는 분위기라는 평가도 나온다. 다른 당권 주자들이 한 전 위원장을 견제하고 있지만, 뚜렷한 대항마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한 전 위원장은 반드시 출마할 것"이라며 "당원과 민심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한 위원장이 출마를 결심할 경우 대세론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변경된 전대 룰을 반영한 당헌·당규 개정안은 오는 19일 상임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를 거쳐 확정된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