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기,전체 산후조리원 절반 넘는 56.4%
"인구감소지역 정부 차원 지원강화 검토해야"
민간 산후조리원의 가격이 갈수록 치솟고 있지만, 공공 산후조리원은 여전히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의 경우 공공은 물론 민간 산후조리원조차 없는 지역이 즐비하다.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말 기준 전국에 운영 중인 산후조리원 456개소 중 경기가 145곳(31.8%)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서울이 112곳(24.6%)이었다. 서울·경기가 전체의 절반이 넘는 56.4%를 차지했다.
반면 산후조리원이 가장 적은 곳은 세종으로 6곳(1.3%)에 불과했다. 광주·울산·제주가 각각 7곳(1.5%), 대전·전북·충북(2.0%)은 9곳이었다.
지난해 기준 산후조리원은 민간이 436개소(95.6%)인 반면 공공은 20개소(4.4%)에 불과했다. 공공산후조리원의 경우 전남이 5개소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경북 3개소, 서울과 경기가 각각 2개소 순이었다.
산후조리원이 없는 기초자치단체는 충북이 9개 시군, 전북 11개 시군, 경북(경산시, 문경시, 영주시,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예천군, 울릉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과 전남은 각각 14개 시군이었다.
박 의원은 "현재 공공 산후조리원 설치, 운영은 지자체의 고유사무라 지자체의 어려운 재정여건으로 인해 적극적 확대에 한계가 있다"며 "저출생 시대 산모와 신생아에 대한 적절한 산후 돌봄이 절실하다. 지방도 원정 산후조리를 하는 일이 없도록 인구감소지역 등 취약지역에 대한 정부 차원의 우선적 지원 강화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