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월 국가유산청 및 8개 소속기관 해킹시도 총 6천233건
직원 2천여명 정보 유출 사고 겪은 국가유산청, 주의 필요

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대구 북구을) 의원이 국가유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국가유산청 및 8개 소속기관을 상대로 한 해킹 시도는 총 6천233건이었다. 지난해 전체 해킹 시도 건수(5천770건)보다 많다. 현재 추세를 이어갈 경우 올해 전체 해킹 시도 건수는 2021년(7천125건), 2022년(6천940건)을 넘기고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해킹 유형 별로는 '홈페이지 공격'이 5천282건(84.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비인가 접근'(844건·13.5%), '서비스 거부'(70건·1.1%), '정보수집'(28건·0.4%) 등 순이었다. 국가별로는 미국에서 이뤄진 해킹 시도가 총 1천788건(28.7%)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1천422건·22.8%), 중국(1천165건·18.7%), 인도(406건·6.5%), 독일(343건·5.5%) 등이었다.
해킹에 가장 많이 노출된 기관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로, 총 2천581건(41.4%)의 해킹이 시도됐다. 다음으로 국가유산청 본청(1천647건·26.4%), 국립무형유산원(1천437건·23.1%), 국가유산진흥원(352건·5.6%) 등 순으로 해킹에 노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유산청의 경우 지난 5월 직원 2천여 명의 주소, 학력,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를 기관 내부망에 유출하는 등 '보안사고'를 겪은 전력도 있었다. 김승수 의원은 "사이버 해킹 공격 방식이 고도화되고, 공격 시도도 증가하는 만큼 개인정보는 물론 중요 국가유산의 비공개 정보가 유출돼 악용되는 사례가 없도록 소속기관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민지기자 mjs858@yeongnam.com

서민지
정경부 서민지 기자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