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동 라인 강기훈 사표 두고
친한계 "눈높이에 아직 못미쳐"
특검법 재표결 후 '행보' 전망
최근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현실화 하면서 당과 용산을 향한 메시지를 줄여왔던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다시 한번 당 쇄신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이재명 대표의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 28일 '김건희 여사 특검법'의 국회 재표결이 이뤄지고 나면 여권이 국민에게 '달라진 모습'을 각인시킬 때라는 인식에서다.
정치권에 따르면 한 대표는 최근 대통령실과 내각의 인적 개편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다. 앞서 한 대표는 한남동 라인 정리 등 '3대 요구'를 제시하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유죄판결이 나더라도 국민이 '그러면 너희는, 너희들도 똑같지 않냐'고 반문하는 것에 당당하게 대답할 수 없다면 그 마음이 우리에게 오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즉 내부에서라도 문제가 있다면 주저 없이 칼을 들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최근 한 대표는 용산을 향한 비판보다는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윤 대통령이 담화에서 대국민 사과를 하고 김 여사의 외부 활동 자제와 인적 쇄신을 약속했기 때문에 윤 대통령의 약속 이행 여부를 지켜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음주운전으로 징계를 받고도 업무에 복귀해 논란을 일으켰던 강기훈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은 사표를 제출했다. 한 대표는 강 선임행정관과 강훈 전 대통령실 비서관 등을 김 여사의 '한남동 라인'으로 지목한 바 있다. 다만 한 대표가 강조한 인적 쇄신 눈높이에는 아직 못 미친다는 게 친한(친한동훈)계의 대체적인 기류다. 이 때문에 28일 본회의 후 한 대표가 여권에 '쇄신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불거진 당원 게시판 논란이 한 대표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논란은 당원 게시판의 '윤 대통령 부부 비방글'이 한 대표 가족 명의로 작성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불거졌다. 친윤(친윤석열)계는 한 대표를 향해 가족의 게시글 작성 여부를 답해야 한다며 당무감사를 압박하고 있다. 지난 21일 한 대표는 기자들에게 "당원 신분과 관련해 하나하나 나올 때마다 이야기 해줘야 하느냐"며 "법적 조치를 예고했기 때문에 위법이 있다면 철저히 수사가 되고 진실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친윤계는 연일 한 대표를 향해 "명명백백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의혹을 둘러싼 친윤·친한 계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한 대표의 리더십이 흔들리면서 쇄신·민생 행보 동력도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정치권에 따르면 한 대표는 최근 대통령실과 내각의 인적 개편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다. 앞서 한 대표는 한남동 라인 정리 등 '3대 요구'를 제시하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유죄판결이 나더라도 국민이 '그러면 너희는, 너희들도 똑같지 않냐'고 반문하는 것에 당당하게 대답할 수 없다면 그 마음이 우리에게 오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즉 내부에서라도 문제가 있다면 주저 없이 칼을 들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최근 한 대표는 용산을 향한 비판보다는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윤 대통령이 담화에서 대국민 사과를 하고 김 여사의 외부 활동 자제와 인적 쇄신을 약속했기 때문에 윤 대통령의 약속 이행 여부를 지켜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음주운전으로 징계를 받고도 업무에 복귀해 논란을 일으켰던 강기훈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은 사표를 제출했다. 한 대표는 강 선임행정관과 강훈 전 대통령실 비서관 등을 김 여사의 '한남동 라인'으로 지목한 바 있다. 다만 한 대표가 강조한 인적 쇄신 눈높이에는 아직 못 미친다는 게 친한(친한동훈)계의 대체적인 기류다. 이 때문에 28일 본회의 후 한 대표가 여권에 '쇄신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불거진 당원 게시판 논란이 한 대표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논란은 당원 게시판의 '윤 대통령 부부 비방글'이 한 대표 가족 명의로 작성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불거졌다. 친윤(친윤석열)계는 한 대표를 향해 가족의 게시글 작성 여부를 답해야 한다며 당무감사를 압박하고 있다. 지난 21일 한 대표는 기자들에게 "당원 신분과 관련해 하나하나 나올 때마다 이야기 해줘야 하느냐"며 "법적 조치를 예고했기 때문에 위법이 있다면 철저히 수사가 되고 진실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친윤계는 연일 한 대표를 향해 "명명백백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의혹을 둘러싼 친윤·친한 계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한 대표의 리더십이 흔들리면서 쇄신·민생 행보 동력도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