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 ‘사교육비 부담이 저출산 위기 가속’ 경고
사교육비 부담↑…가계 부채·저출산 악순환

대구 수성구 학원가에 걸린 의대 입시 홍보 현수막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영남일보DB
외신이 한국 영유아 사교육 시장의 과열 실태를 꼬집었다.
최근 한국에선 '4세 고시', '7세 고시'라는 용어까지 등장한 상황이다. '7세 고시'는 초등학교 입학을 위해 치르는 시험을, '4세 고시'는 영어유치원 레벨테스트를 위한 영유아 시험을 말한다.
영국의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16일 보도를 통해 “한국의 학문적 경쟁이 6세 미만 영유아 절반을 입시학원으로 몰아넣고 있다"며 한국의 영유아 사교육 시장을 비판했다.
FT는 지난 13일 발표된 한국 교육 당국의 통계를 인용해 한국의 6세 미만 영유아 중 47.6%가 사교육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심지어 2세 미만 아동의 4분의 1도 사교육을 받는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과한 사교육비 지출이 심각한 저출산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FT는 “영어, 수학, 과학, 논술 등 과목을 가르치는 학원은 한국의 큰 산업으로 성장했는데 이 같은 사교육 열풍은 가계부채를 늘리고 내수 소비를 위축시키는 것은 물론, 인구 위기로 이어졌다"며 “한국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5명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부모들에 대해선 “자신의 자녀가 최고의 대학과 몇 안 되는 대기업에서의 고소득 일자리를 위한 강도 높은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학원에 의존한다"고 분석했다.
사교육 대상 연령이 점차 낮아지면서 부모들의 사교육비 부담도 나날이 늘고 있다.
교육부가 최근 발표한 '2024 유아사교육비시험조사'에 따르면, 영어유치원의 월평균 비용은 154만5천원에 달한다. 우리나라 6세 미만 미취학 아동의 1인당 사교육비도 월평균 33만2천원이었다.

박지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