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부품도 관세 대상…상호관세 “모든 나라 대상” 재확인

트럼프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오는 4월 3일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한국은 큰 타격이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했다. 그는 “오늘 행정명령에 사인하고 4월 2일부터 발효된다. 4월 3일부터 관세를 걷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발 글로벌 관세전쟁의 전선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로 연간 1천억 달러(약 147조원)의 세수 증가를 기대한다"고 말하면서 관련 포고문에 서명했다.
포고문은 이번 25% 관세가 자동차(세단·SUV·크로스오버·미니밴·카고밴)와 소형트럭은 물론, 엔진과 변속기, 파워트레인, 전기 등 자동차 부품에도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핵심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관보에 공시되는 날로 하되, 오는 5월3일 이전이라고 명시, 자동차 관세보다 한 달 정도 늦게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발표에 대해 유럽연합(EU)과 캐나다 등은 즉각 반발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성명에서 “심히 유감"이라고 밝혔고,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캐나다 노동자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라고 비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한국은 자동차가 대미 수출품 가운데 가장 비중이 커서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규모는 347억4천400만 달러(약 51조원)였다. 이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자동차 수출 규모(707억8천900만 달러)의 거의 절반( 49.1%)에 가까운 수준이다.

장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