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415010001256

영남일보TV

[자유성] 돈로주의

2025-04-15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전쟁 이면에는 경제적 현실뿐 아니라 미국의 패권주의 전략이 똬리를 틀고 있다. 글로벌 패권 유지에는 결국 돈이 필요하고, 제조업 부흥을 통해 경제 체력을 키우겠다는 의도다. 트럼프는 한 손엔 관세라는 무기를, 또 다른 손엔 막강한 군사력을 들고 미국 중심의 패권을 강화하고자 한다. 트럼프의 이런 대외정책을 '돈로 독트린(Donroe Doctrine)'이라고 부른다. 이는 1820년대 미국의 5대 대통령 제임스 먼로의 정책인 '먼로주의'에 트럼프의 약칭 '도널드'를 합친 신조어다. 먼로주의는 고립주의에 가까운 대외 정책이다. 유럽의 아메리카 대륙 간섭을 반대하는 한편, 미국 역시 유럽 문제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선언이다. 여기엔 미국이 아메리카 대륙의 패권을 장악하는 데 다른 국가의 간섭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미도 담겨있다.

결국 돈로주의는 고립주의 기조를 바탕으로, 노골적인 팽창주의적 행보를 지향하겠다는 의도다. 트럼프는 취임 이후 그린란드의 편입을 주장하는 한편, 캐나다를 51번째 주(州)로 만들겠다고 공언한다. 뒷마당인 중남미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해 파나마 운하를 사들이고, 멕시코만의 명칭을 '아메리카만'으로 바꿨다. 이는 아메리카 대륙을 미국의 세력권에 두고, 북미를 자국의 성채로 만들겠다는 노골적인 야욕이다.

하지만, 트럼프의 관세정책과 함께 거친 패권주의는 2차 대전 이후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구축한 미국 중심의 국제 협력체제를 급속하게 무너뜨리고 있다. 미국 내부의 반발과 국제 협력체제의 와해 상황에서 트럼프가 돈로주의 구상을 제대로 실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윤철희 수석논설위원
기자 이미지

윤철희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