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후보자 “특별한 희생엔 특별한 보상하는 실질적 예우와 이재명 정부 국민통합 철학 새기고 소임 수행할 것”
尹정부 시절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인선 논란에 대해선 “임명권자도, 관장도 참 고집 부리셨다”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권오을 장관 후보자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25일 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스퀘어 건물에 도착,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6.25 m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정부의 첫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경북 안동 출신 권오을 전 의원이 진보와 보수 간 소통에 힘쓰겠다고 25일 밝혔다.
권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 준비를 위해 마련된 서울역 앞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소통의 장을 자주 마련하면 광화문에 태극기 부대와 촛불 부대가 서로 소통이 되고 이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 후보자는 "오늘이 6·25전쟁 발발 75주년"이라면서 "대한민국을 지켜내신 호국영령들께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리며, 이런 분들을 예우하는 보훈은 국가가 해야 할 최소한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을 하는 실질적인 예우와 국민통합이라는 이재명 정부의 철학을 가슴에 새기면서 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성실히 준비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권 후보자는 과거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를 향해 '친북 세력'이 아니냐고 비판한 전력에 대해선 "그때 발언하고 난 다음에 상당히 곤욕을 치렀다. 시대가 많이 바뀌었다"며 "지금은 그런 말이 나올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권 후보자는 보훈 정책과 관련해 유공자의 유자녀 중 한 명만 보훈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면서 "이제는 가족 수도 적은데 자식 세대가 다 혜택을 받는 방향으로 틀을 바꿔가야 한다"면서 "여러 정치적인 이유로 보훈 대상에서 제외됐던 분들을 국민적 합의를 통해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도 제가 재직하면서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정권마다 발생하는 각종 보훈 훈격 논쟁에 대해서는 "당시의 행적을 가지고 보훈 심사를 하는 것이 기본"이라며 "결론이 났으면 따르는 것이 지속적인 국가와 정부의 정책인데, 정부와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그걸 훼손하거나 등급을 낮추면 국가의 여러 체계가 흔들린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 시기 있었던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인선 논란을 두고는 "임명권자도 관장도 참 고집을 부리셨다. 그렇게 반대가 많으면 한 번 더 생각해 보는 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한편, 권 후보자는 1996년 통합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됐고 2000년과 2004년에는 한나라당 소속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후 친유승민계로 분류되다가 올해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캠프에 합류했다.

권혁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