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댐 이전 추진에서 구미 해평안 동시 검토 가능성에
대구시 “각 방안 장·단점 뚜렷…타 지자체 동의 전제돼야”

대구시청 동인청사 전경. 영남일보DB
정부가 대구 취수원 정책의 전면 재검토를 공식적으로 꺼내들었다. 대구시는 일단 정부의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신중한 입장이다. 민선 8기 출범후 대구시는 대구 취수원의 안동댐 이전을 적극 추진해왔다. 하지만 정부가 기존 대구 취수원 정책에 변화를 시사하면서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은 대구시의 취수원 안동댐 이전 정책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피력했다. 이어 임 의원은 금한승 환경부 차관을 향해 "대구 취수원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 공식 입장을 밝혀달라"고 물었다.
이에 금 차관은 "안동댐 이전과 구미 해평취수원 이전 방안이 다 같이 제시되고 있고, 각 대안에 대한 의견들도 나눠져 있다"며 "어느 한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하겠다. 모든 대안을 정밀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대구시 측은 "대구의 오랜 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 도출되길 바란다. 부디 대구 취수원 문제 해결이 국정과제로 반영되길 학수고대한다"고 했다.
이같은 반응은 다소 원론적이다. 민선 8기 정책 연속성과 안동시와 굳건히 다져온 협력관계 등을 감안한다면 종전 방침대로 '안동댐 이전'을 강력 추진해야 한다는 게 일반적인 식견이다. 하지만 새 정부와 거대 여당의 정책 기조가 '구미 해평지역 이전 재논의' 쪽으로 흐르면서 마냥 기존 정책 방향을 고집하긴 힘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안동댐 이전과 구미 해평지역 이전 모두 뚜렷한 장·단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시에 따르면 대구의 상수도 필요 취수량은 약 54만t으로 기존 구미 해평안(30만t)의 경우, 24만t이 부족해 나머지 필요수량에 대해 초고도정수처리가 필요하다. 적잖은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셈이다. 향후 TK신공항 및 에어시티 관련해 추가 필요수량(3.3만t)에 대한 대책 마련도 불가피하다는 게 대구시의 판단이다. 또 안동댐 이전안의 경우, 관로 길이와 건설 비용·안전성 등에 따른 반대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대구시 측은 "취수원 이전 정책방향은 '실현 가능한 방안으로 최대한 빨리' 시민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며 "이는 대구시의 의지만으론 되지 않는다. 안동·구미 등 타 지자체의 동의가 필요하다. 그 전제 조건(타 지자체 동의) 하에서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 정책을 펴왔지만, 정부 생각이 그렇다면(전면 재검토) 일단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정부의 전면 재검토 후 구미 해평지역 이전안으로 회귀한다면, 구미시 설득과 취수량 확대 등은 정부 몫이 될 것으로 점쳐진다.
시 관계자는 "취수원 이전 문제는 빨리 해결돼야 하지만, 그간 각종 상황 변화나 부침이 많아 속도를 내지 못했다"며 "대구취수원 문제가 이렇게 다시 이슈화된 것은 긍정적으로 본다. 그래야 정부도 더 신경을 쓰고, 대구시민을 위한 해결책이 빨리 제시될 것이다. 정부 차원에서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노력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한편, 30년 이상 지속된 대구시의 물 문제 해결은 오랜 숙원 사업이다. 대구시는 민선 7기 권영진 전 시장 시절 구미 해평지역으로 취수원을 이전키로 했다. 이후 민선 8기 들어 대구시장과 구미시장이 모두 바뀌면서 정책방향이 바뀌었다. 대구시는 안동댐으로 취수원을 옮기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추진키로 방향을 틀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