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임미애 의원 “안동댐 활용 방안 기존 구미 해평취수장 활용보다 비용 1조원 더 들어, 일선교(구미보 상류)이전도 포함해야”
금한승 신임 환경부 차관 “제시된 모든 방안에 대해 가능성을 열어두고 중앙정부 적극 개입”

구미 해평취수장<영남일보 DB>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안동댐 활용으로 백지화됐던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해평취수장)이 재논의될 전망이다.
지난 1일 국회 예결위에서 민주당 임미애 의원은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맑은물 하이웨이 대구 취수원 안동댐 활용 방안이 기존에 협약을 체결한 구미 해평취수장 활용에 비해 비용이 1조원 더 추가된다"며 "관로도 45km에서 110km 연장돼 안정성 문제도 제기되고 안동댐 수질 문제도 거론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금한승 신임 환경부 차관은 "안동댐과 구미 해평취수원 이전 모두 이해관계자와 지자체 간 이견이 상당하다"며 "특정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2022년 4월 환경부·구미시·대구시·경북도는 대구 취수원 일부를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는 '취수원 다변화 협정'을 체결했다. 당시 '취수원 다변화 협정'과 관련 구미시는 찬성과 반대 단체가 팽팽히 대립했다.
하지만 그해 7월 민선 8기 홍준표 대구시장이 당선된 후 대구 취수원 안동댐 활용을 추진하며 해평취수장 이전 논의는 중단됐다. 바뀐 구미시장 역시 시민들의 공감대 형성을 최우선 전제로 기존 해평취수장이 아닌 구미보 상류로의 취수원 이전을 제안했다.
이날 임 의원은 "해평취수장과 일선교(구미보 상류)가 12km밖에 되지 않는다. 이 대안도 포함해 책임감을 가지고 해결해 달라"고 했고 금 차관 역시 "제시된 모든 방안에 대해 가능성을 열어두겠다. 지자체에 물 문제를 맡겨두지 않고 중앙정부가 개입하겠다"고 강조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전달되지는 않았다"며 "그동안 추진과정들을 다시 살펴볼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선사시대 사람들의 삶이 표현된 울산 반구천 암각화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유력해지면서 대구 취수원 이전 추진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반구천 암각화가 잠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울산 사연댐 수위를 낮춰야 하는데 사연댐 수위가 낮아지면 울산지역 먹는 물 공급에 차질이 생겨 그 대안으로 경북 청도 운문댐 활용 방안이 검토된다. 이렇게 되면 운문댐 물을 취수원으로 활용하는 대구 일부 지역 물 공급에 차질이 생겨 현재 낙동강을 활용한 대구 취수원 다변화 방안이 논의 중이다.

박용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