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결정 기술로 수명·안정성 개선
하이니켈 이어 중저가 시장 공략
인니·유럽 잇는 글로벌 공급망 강화
                    
                     
     에코프로 포항캠퍼스 전경. 에코프로 제공
에코프로가 하이니켈을 넘어 '고전압 미드니켈' 양산 체제로의 전환을 본격화하며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새로운 균형점을 제시하고 있다. 고비용 구조와 OEM(완성차 업체)의 가격 인하 요구가 맞물린 상황에서 에코프로는 자체 개발한 단결정 기술을 접목한 HVM(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로 수명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에코프로는 28일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기술 검증을 완료하고 포항 생산라인 구축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미드니켈은 니켈 함량이 60% 수준으로 기존 하이니켈(90% 이상) 대비 원가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니켈은 삼원계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하는 핵심 원료로 함량을 낮추면 제조 단가 절감 효과가 크다.
이번 HVM 제품의 핵심은 단결정 구조다. 에코프로가 독자 개발한 단결정 공법은 입자가 하나의 연속된 결정으로 구성돼 충·방전 과정에서 구조가 깨지지 않는다. 공보현 에코프로비엠 개발담당 상무는 "단결정 양극재는 고전압에서도 균열이 적고 안정성이 높아 수명 향상 효과가 있다"며 "특히 저온 환경에서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에코프로는 고성능 전기차 시장에서 축적한 하이니켈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드니켈 제품을 중저가 전기차 모델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미 글로벌 완성차 및 셀 제조사들과 공급 협의를 진행 중이며, 2027년 본격 양산을 목표로 생산라인 개조에 착수했다.
가격 경쟁력 역시 인도네시아 프로젝트를 통해 확보하고 있다. 에코프로는 술라웨시섬 IMIP 산업단지 내 제련소 4곳에 7천억 원을 투자했으며, 인근 IGIP 산업단지에서도 6만6천 톤 규모의 니켈 중간재 생산을 위한 2단계 투자 계획을 추진 중이다. 향후 유럽 시장 공략도 본격화된다. 에코프로는 포항을 핵심 생산기지로 삼고 헝가리 공장에도 HVM 라인을 도입할 예정이다. 헝가리 공장은 연간 5만4천 톤 규모의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으며, 시장 성장세에 맞춰 3개 라인을 추가 증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 월정교 위 수놓은 한복의 향연··· 신라 왕복부터 AI 한복까지](https://www.yeongnam.com/mnt/thum/202510/news-a.v1.20251031.85fcdd178eb544e5a04e034dd6778335_T1.jpg) 
										![[영상]경주를 물든인 K컬처 특별전… 신라의 향기, 현대 예술로 피어나다](https://www.yeongnam.com/mnt/thum/202510/news-a.v1.20251030.20b0c9fa94af442bbb7be5d52ca7c85f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