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1031029155519

영남일보TV

  • [영상] 월정교 위 수놓은 한복의 향연··· 신라 왕복부터 AI 한복까지
  • [영상]경주를 물든인 K컬처 특별전… 신라의 향기, 현대 예술로 피어나다

[경주 APEC] 젠슨 황 “한국은 AI 주권 국가…SW·제조·AI 역량 다 갖춰”

2025-10-31 18:10

31일 경주 APEC CEO 서밋 대미 장식

31일 2025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CEO 서밋 마지막 연사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31일 2025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CEO 서밋 마지막 연사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한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공지능(AI) 인프라를 보유한 국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황 CEO는 이날 오후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CEO 서밋 특별세션에서 "한국에 26만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하기로 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번 연설에 앞서 엔비디아는 정부와 국내 4개 기업(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에 총 14조원 규모 GPU 투입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APEC CEO 서밋의 대미를 장식하는 마지막 특별세션의 연사로 나선 황 CEO는 참석자들의 큰 환호성과 박수를 받으며 등장했다. 그는 본격적인 발표에 앞서 한국전쟁 직후 세계 최빈국에서 산업 강국으로 우뚝 서게 된 한국을 소개하는 영상을 상영하는 등 한국에 대한 애정도 숨기지 않았다.


먼저 황 CEO는 AI 기술 발전이 가져온 변화를 조명했다. 그는 "AI는 가장 중요한 도구이자 세상을 잇는 플랫폼"이라며 "소프트웨어가 또다른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물리학을 비롯해 사실상 모든 과학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챗봇은 AI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AI는 단순히 암기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사고를 거쳐 양질의 답변을 내놓는다. 향상된 답을 통해 학습하고 발전을 거듭한다. 막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AI 인프라 투자는 수익을 창출하고 다시 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 CEO는 "수익성을 갖추게 되면 개별 기업은 더 많은 칩을 필요로 한다. 이윤을 내는 만큼 더 많은 생산시설이 구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한국에 매우 특별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소프트웨어와 제조 역량, AI를 포함한 첨단산업 기반을 모두 갖추고 있어 잠재력이 더 높다고 평가했다. 국내 주요 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황 CEO는 "한국은 소프트웨어 기업도 대거 포진해 있고 로봇 공학 분야에서도 높은 수준에 이미 도달했다. 제조 분야에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AI 혁신 한 가운데 선 가장 중요한 시기다. 이제 한국은 AI 주권국가, AI 프론티어(개척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자 이미지

이승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