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은행 제공> |
주택 거래 감소와 금리 인상 영향으로 지난 1분기 가계대출 잔액이 통계 반영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859조4천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지난해 12월 말보다 6천억원 줄었다. 2013년 1분기 9천억원 감소한 이후 9년만에 처음 가계신용이 줄어든 것.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계신용 규모는 계속 증가세를 나타내지만 코로나19 확산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가 결국 감소세로 돌아섰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을 뺀 가계대출 잔액은 1분기 말 기준 작년 4분기보다 1조5천억원 감소한 1천752조7천억원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이 전분기보다 줄어든 것은 2002년 4분기 해당 통계 반영 이래 처음이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 분기보다 8조1천억원 늘어난 989조8천억원으로 집계됐지만 증가 폭은 직전(12조7천억원)보다 줄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은 762조9천억원으로 9조6천억원 줄었다. 작년 4분기(-9천억원)에 이어 두 분기 연속 감소한 데다 규모도 2003년 해당 통계 작성 이후 최대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주택 거래 둔화 등으로 작년 4분기보다 축소됐다"며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대출금리 상승과 정부·금융기관의 관리 강화 등으로 감소 폭이 더 커졌다"고 했다.
작년 4분기 대비 기관별 가계대출 증감액은 예금은행에서 4조5천억원, 비은행예금취급기관(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에서 2조5천억원 각각 줄었다. 다만 보험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에서는 5조5천억원 늘어났다.
1분기 말 기준 판매신용 잔액은 106조7천억원으로,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를 중심으로 직전 분기보다 8천억원 늘었다. 다만 올해 초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 영향으로 분기 증가폭은 작년 4분기(5조2천억원) 대비 크게 줄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