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0608010000919

영남일보TV

"취업플랫폼 AI 역량평가 모의고사 문제 분석…개선점 찾아라"

2022-06-09

인공지능 채용전형 준비 전략

취업플랫폼 AI 역량평가 모의고사 문제 분석…개선점 찾아라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채용 전형에도 AI(인공지능)를 도입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채용 전형이 확대되고 있다. 취업 플랫폼 '사람인'이 국내 기업 560개사(社)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AI 역량평가가 채용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은 58.8%로 나타났다. 현재 AI 채용을 활용하고 있지 않지만 향후 도입 의사가 있다는 기업도 46%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채용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에도 AI 역량평가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취업준비생 가운데 상당수는 AI 역량평가에 적응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취업 진로 컨설팅기업 '잡생각연구소' 이재형 대표를 만나 AI 역량평가에 대비하는 방법에 대해 들어봤다.

인성·태도·문제해결 능력에 초점
상하반기 출제 완전히 달라지기도
꾸준한 문제풀이가 가장 좋은 방법
화면보다 '카메라 렌즈' 응시하며
일정한 템포에 맞게 답변연습해야

Q: AI 역량평가 최근 유형의 특징은.

A: 큰 흐름을 보면 이전에는 필기시험에 가까웠지만 최근엔 인성·태도,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만 아직 문제 유형이 정형화되지 않아서 대비하기 힘든 면이 있다. 상반기에 출제된 유형과 하반기가 전혀 달라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Q: 바뀌는 유형에 효율적으로 대비하는 방법은.

A: 문제 풀이를 꾸준히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잡플렉스(JOBFLEX), 잡다(JOBDA) 등 취업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AI 역량평가 모의고사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모의고사를 보고 점수가 낮은 분야를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취업플랫폼 AI 역량평가 모의고사 문제 분석…개선점 찾아라

Q: 상황별 대응을 요구하는 문항은 답변하기 어렵다는 응시생이 많은데.

A: 특정한 상황에 처했을 때 대응을 어떻게 하는지 평가하는 문항이 출제된다. 가령 고객의 클레임에 대응을 한다면 차분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해야 한다. 새롭고 창의적인 답변을 하면 오히려 감점을 받을 수 있다. 창의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에 대응하는 태도 및 자세를 평가하는 문항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Q: AI 면접을 볼 때 시선 처리를 제대로 해야 한다는 등 속설이 많은데 사실인가.

A: AI 면접관이 시선이나 안면근육 떨림 등을 보는 것은 사실이다. 질문에 맞는 답변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겠지만 카메라를 대하는 연습은 필수다. 보통 화면을 응시하는 경우가 많은 데 카메라 렌즈를 보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성량의 떨림도 인식된다. 면접에 자신이 있다고 해도 일정한 템포에 맞게 답변하는 연습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Q: 면접을 진행할 때 특별히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A: 차별화된 답변을 해야 한다는 압박 탓에 의도치 않은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AI 면접관은 완전히 새로운 답변을 요구하지 않는다. 특히 강조하고 싶은 건 바로 '일관성'이다. 여러 문항에 답변을 하다 보면 이전에 자신이 보여줬던 태도, 방향성이 달라지기도 하는데 이는 큰 감점 요소가 될 수 있다. 잘 보이기 위해 부담을 갖지 말고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답변하는 것을 권장한다.

Q: AI 역량평가의 중요성이 앞으로 더 커질 거라 예상하나.

A: 그렇다. 기업 인사담당자들의 의견을 들어보면 AI를 도입하면 채용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기회를 확대하는 장점도 있다. 이전에는 서류평가에서 스펙을 보고 상당수 지원자를 가려냈지만 AI 역량평가를 이용하면 보다 많은 인원이 시험을 볼 수 있다. 현재는 대기업 중심이지만 향후에는 중소기업도 AI 역량평가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한다.

Q: 끝으로 AI 역량평가를 준비하는 구직자들에게 팁을 준다면.

A: 앞서 언급한 것처럼 꾸준한 연습이 가장 중요하다. 모의 면접 및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웹 사이트 꿈날개(www.dream.go.kr), 잡아바(www.jobaba.net)를 추천한다. 또한 비대면 면접을 볼 때 마땅한 공간이 없어 고민하는 구직자도 적지 않다. 온라인 청년센터(www.youthcenter.go.kr)에서 '전국 면접(AI/비대면) 지원 장소' 서비스를 이용하면 면접에 필요한 장소를 대여할 수 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도움말=이재형 잡생각연구소 대표

기자 이미지

정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