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서병수 상임전국위원회 의장이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상임전국위원회 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연합 |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을 최종 의결하고 이준석 당 대표의 해임을 사실상 확정하게 될 국민의힘 전국위(9일)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비대위 출범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해임 위기에 몰린 이준석 대표측도 대반격의 카드를 장전하고 있다.
9일 오전 전국위원회는 당 대표 직무대행에게 비대위원장 지명권을 부여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한다. 통과되면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의원총회를 통해 마지막으로 당내의견을 수렴하는 형식의 절차를 거친 뒤 비대위원장을 지명하고, 이어 곧장 전국위의 비대위원장 찬반 투표를 거쳐 비대위가 공식 출범한다.
최대 14명까지 둘 수 있는 비대위에 친윤계가 얼마나 참여하게 될지는 또하나의 분수령이다. 비대위 구성은 비대위원장이 사실상 전권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비대위 출범과 동시에 차기 당권 경쟁도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이준석 대표의 ‘강제 해임’을 겨냥한 당헌 개정안도 일각에서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 대표측도 바라만 보고 있지는 않다. 이 대표 스스로가 가처분 등 법적 대응을 불사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대표 지지모임은 집단소송이나 토론회 카드를 준비중이다. 이 대표의 가처분 신청 '디데이'는 전국위가 열리는 9일이 될 수 있다. 맞불 성격이다. 또 친 이준석계인 조해진·하태경 의원은 이 대표 복귀를 전제로 비대위 임기를 당 대표 징계 기간으로 제한한 당헌 개정안을 발의하며 맞섰다.
하태경 의원은 7일 자신의 SNS에 "이 대표 강제해임안은 모두가 죽는 길이다.파국으로 가는 길이다"고 경고했다.
국민의힘의 내분은 법적 분쟁과 정치적 명분 쌓기란 두 축을 중심으로 최고치의 충돌지점으로 돌진하는 형국이다. 양측의 감정의 골이 깊어진 점과 ‘통치권 차원’의 도전과 응전이란 점을 감안하면 당장 극적인 화해가 이뤄지기는 불가능하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