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사업이 정부의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발표와 연계해 앞으로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19일 △도심항공교통(UAM)△자율주행차 △디지털 물류 △모빌리티 서비스 △모빌리티 도시 분야 혁신안인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했다. 4차산업 혁명 확산으로 모빌리티에 대한 중요성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세계적 컨설팅 기업 맥킨지에 따르면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은 2017년 4천400조원에서 2030년엔 8천70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일단 대구경북통합신공항과 연계한 UAM 특화도시 조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UAM 실증 및 시범운행 노선으로 금호강 하중도와 강정고령보를 잇는 물길을 검토 중이다. 통합신공항과 대구국제공항 후적지(K2 종전부지) 간 상용화 노선도 염두에 두고 있다.
정부의 UAM 분야 실증 계획에서 대구가 제외됐지만 시는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시는 정부 계획과 별도로 자체 UAM 실증을 거친 후 UAM 시범도시 선정 및 상용화에 주력키로 했다. 도심지 실증노선은 국토부가 국방부와 공역협의를 거쳐 내년 초 확정·발표한다.
자율주행차와 관련해선 정부는 2035년까지 자율주행차 보급률을 5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 기존 고속도로를 자율차 전용차로로 지정, 운영하는 모빌리티 혁신 고속도로를 최초 선정한다. 올해 말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부분자율주행(레벨 3) 승용차를, 2027년엔 완전자율주행 (레벨 4)승용차를 각각 출시한다.
자율차 시범운행지구의 경우 2025년까지 전국 시·도별로 1개소 이상 지정해 운영키로 했다. 대구는 내년까지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을 진행한다. 올해 초 달성군 구지면에 '대구 미래차전환 종합지원센터'를 개소하고, 자율주행전기차 시대를 대비하는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 전반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디지털 물류 분야에선 쿠팡과 연계한 인프라 확보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임훈기자 hoony@yeongnam.com

임훈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