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외곽 우회 대배수터널·침수위험지역 차수벽 설치 등 방재정책 대전환
![]() |
이강덕 포항시장이 20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안전도시 종합계획 구상안을 발표하고 있다.<포항시 제공> |
태풍 '힌남노'로 큰 피해가 난 경북 포항시가 3조3천억원을 들여 재난 기반시설을 확충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20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기후변화 시대에, 잦아지고 강력해지는 재난에 근본적으로 대비함으로써 시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포항시는 가장 먼저 100억원을 들여 안전도시 전환을 위한 안전진단과 방재 종합계획을 세우기로 했다. 포스코 등 철강공단 기업과 함께 종합방재 계획을 수립하고 최근 재난상황에 맞는 설계기준을 마련한다.
또 5천470억 원을 투입해 냉천, 칠성천, 지바우천, 대화천, 장기천 등 지구단위 종합복구계획을 세워 하천 범람을 막는다. 대송면, 청림동, 동해면 등 상습 침수지역에 대한 정밀진단과 복구계획을 세우고 항구적 침수예방이 불가능하면 주민을 이주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시는 1조3천억원을 들여 북구와 남구에 외곽 해안지역으로 빗물을 배출하는 도시 우회 대배수터널(총 연장 28㎞)을 설치하기로 했다. 형산강에 유입되는 빗물을 분산함으로써 도심과 공단 침수를 막겠다는 것이다.
또 3천억원을 들여 도심 저류지를 확충, 빗물 수용 능력을 높이고 20년 빈도(시우량 60㎜)로 설계된 빗물펌프장 15곳을 100년 이상 빈도(시우량 80㎜)로 성능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1조2천억 원의 예산으로 칠성천과 냉천, 연안, 형산강 주변과 국가산단 침수를 막기 위한 차수벽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 같은 재난 대비 인프라 구축과 함께 시민 안전중심 제도개선에 나서 안전도시위원회 및 전문자문단을 구성하고 불합리한 피해구제 제도를 개선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또 지하주차장 등 침수 취약지역 예방시설 설치 의무화 조례를 추진하는 등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포항을 비롯해 울산, 부산 등 기후위기에 취약한 해안도시에 국가가 지원할 수 있도록 특별법 제정을 건의하기로 했다.
일련의 계획을 세우고 기반시설을 갖추는 데 드는 비용은 총 3조3천570억 원이다. 시는 2023년까지 계획을 세우거나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등 준비 기간으로 삼고 2025년까지 도심 저류지를 조성하거나 빗물펌프장을 개선하며 2035년까지 우회 대배수터널과 차수벽을 설치할 방침이다.
이강덕 시장은 "기후 변화 시대 잦아지고 강력해지는 자연 재난에 근본적으로 대비하는 방재정책의 대전환을 통해 시민과 기업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도시 포항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마창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