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1002010000106

영남일보TV

'10월 항쟁' 76주기·합동위령제 "추가 진상규명·명예회복 반드시 이뤄져야"

2022-10-03
위령제1
1일 대구 달성군 가창면 10월 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에서 '10월 항쟁' 76주기 및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72주기 합동위령제가 열리고 있다. 강민구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위원장 제공

대구에서 시작해 전국으로 확산된 해방 이후 최초의 민중항쟁으로 평가받는 '10월 항쟁' 76주기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72주기 합동위령제가 지난 1일 열렸다. 특히 양측 유족회는 추가적인 진상규명과 피해 조사,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해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에 진상규명을 신청했다.

대구 달성군 가창면 '10월 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에서 열린 합동위령제는 채영희 10월 항쟁 유족회 이사장과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을 비롯해 강민구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위원장, 유족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전통제례, 추도사, 합동추모제 순서로 진행됐다.

채 이사장은 "이제 숨어 울며 제사상을 올리고 싶지 않다. 서럽고 아픈 가창골에 10월 항쟁 위령탑도 세워졌다"며 "10월 항쟁이 대구의 자랑스런운 역사로 기억되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1946년 10월 대구에서 시작돼 전국으로 확산된 10월 항쟁은 미군정의 식량 정책에 항의 시위에 나선 시민에게 경찰이 총격을 가하면서 발달이 됐다. 2009년 진실화해위가 10월 대구 사건 등을 공권력에 의한 희생이었다는 진상규명 결과를 결정함에 따라 10월 항쟁 유족회가 결성됐다.

유족회는 이후 많은 희생자가 나온 가창골에서 매년 합동위령제를 지내고 있다. 대구시와 대구시의회도 2016년 7월26일 '10월 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 사업 지원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약 8억5천만원이 투입돼 2020년 11월 위령탑도 건립됐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