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과 예천 행정구역 통합 문제가 양 지역 간의 갈등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안동시가 최근 안동·예천 행정구역통합 추진 지원조례안을 입법 예고하면서부터다. 예천의 유림단체 회원들은 "안동시가 통합으로 양 시·군 주민이 얻게 되는 실익을 제대로 제시하지 않은 것은 물론 예천군의 의견조차 제대로 수렴·협의하지 않은 채 일방적인 여론몰이를 통해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통합추진은 본인(권기창 안동시장)의 공약 달성을 위한 진정성 없는 정치적 구호에 불과하다"고 날을 세웠다.
행정통합 논란은 자칫 양 지역 간의 갈등을 심화할 우려가 없지 않다. 안동·예천 모두 자존감이 높은 지역인 데다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에 함께 들어선 경북도청 신도시를 놓고 양 지역의 손익계산과 관련한 논란이 많기 때문이다. 섣부른 행정통합 추진에 앞서 충분한 사전 의견조율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해 보인다. 당면 과제부터 해결하면서 합의점을 도출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경북도청 신도시는 현재 안동과 예천 인구의 상당 부분을 빨아들이는 블랙홀 역할을 하고 있다.
아파트 등 주거시설은 예천군이 많고 경북도청을 비롯한 대부분의 관공서는 안동에 분포돼 있다. 주민 일터와 주거지, 자녀 거주지와 다니는 학교의 행정구역이 달라 발생하는 행정적, 교육적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행정통합보다는 행정서비스 통합이 더 시급한 사안이다. 안동시의 통합조례안 발의 명분이 도청 신도시 생활권 일원화와 지방소멸 대응, 도시경쟁력 강화라는 점은 충분히 이해한다. 조례안의 시의회 통과에 앞서 양 지역이 상호존중의 정신을 발휘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먼저다.
행정통합 논란은 자칫 양 지역 간의 갈등을 심화할 우려가 없지 않다. 안동·예천 모두 자존감이 높은 지역인 데다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에 함께 들어선 경북도청 신도시를 놓고 양 지역의 손익계산과 관련한 논란이 많기 때문이다. 섣부른 행정통합 추진에 앞서 충분한 사전 의견조율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해 보인다. 당면 과제부터 해결하면서 합의점을 도출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경북도청 신도시는 현재 안동과 예천 인구의 상당 부분을 빨아들이는 블랙홀 역할을 하고 있다.
아파트 등 주거시설은 예천군이 많고 경북도청을 비롯한 대부분의 관공서는 안동에 분포돼 있다. 주민 일터와 주거지, 자녀 거주지와 다니는 학교의 행정구역이 달라 발생하는 행정적, 교육적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행정통합보다는 행정서비스 통합이 더 시급한 사안이다. 안동시의 통합조례안 발의 명분이 도청 신도시 생활권 일원화와 지방소멸 대응, 도시경쟁력 강화라는 점은 충분히 이해한다. 조례안의 시의회 통과에 앞서 양 지역이 상호존중의 정신을 발휘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먼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