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내 고준위 방폐물 저장시설 운영 불가
고준위 방폐물 미반출에 따른 사과와 대안 제시 요구
![]() |
20일 경북 경주시청 현관 앞에서 경주시원전범시민대책위와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월성원전 내 고준위 방폐물(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운영 불가'와 고준위 방폐물을 미반출에 대한 사과와 대안 제시를 주장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월성원전 내 고준위 방폐물(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운영은 절대 불가하며 고준위 방폐물 미반출에 따른 사과와 대안을 제시하라”
경주시원전범시민대책위와 경주시민단체는 20일 경북 경주시청 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주시민들은 정부의 국책사업을 수용했으나 결국 삶의 터전을 빼앗겼고, 월성원전, 중·저준위 방폐장,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수력원자력<주>, 고준위 방폐물 저장시설, 문무대왕연구단지 등 원자력 관련 시설만 터줏대감처럼 자리 잡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대책위는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관련한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중·저준위 방폐장 부실 운영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 사업 미이행 △고준위 방폐물 저장시설 추가 확충 등으로 경주시민들의 인내는 한계에 다다랐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또 정부는 “중·저준위 방폐장을 유치하면서 경주시민과 고준위 방폐물을 2016년까지 다른 지역으로 실어 내겠다고 약속해 놓고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과 관련해 단 한 차례의 사과와 대안도 없었다”며 “오히려 원전 가동 중단을 내세우는 등 시민들을 겁박해 고준위 방폐물 저장시설인 ‘맥스터’ 7기를 추가로 건설했다”고 비난했다.
이어 정부는 고준위 방폐물 특별법안 제정을 주민 공청회도 없이 졸속으로 밀어붙이고 있으며 이 법안에는 고준위 핵폐기물을 ‘중간 저장시설’ 마련 전까지 원전 부지 안에 건식 저장시설을 확충해 보관한다는 ‘부지 내 저장시설 운영’이 포함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이 법안은 정부가 맥스터 저장시설을 영원히 경주에 두겠다는 의미이며, 중·저준위 방폐장 특별법을 정부가 앞장서서 위법을 자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이제 더 이상 경주가 원자력 산업의 희생양이 될 수 없으며 국회에 발의된 김성환·이인선·김영식 의원이 발의한 법안 내용 중 ‘부지 내 고준위 저장시설 운영’ 조항을 조건없이 삭제하라고 주장했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