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420010002615

영남일보TV

대구, LG전자와 폐태양광 패널 순환경제 산업 중심지로 도약한다

2023-04-21

대구기계부품硏 폐태양광 패널 기술 지원

신우첨단소재·이알과 업무협약

대구, LG전자와 폐태양광 패널 순환경제 산업 중심지로 도약한다
20일 오전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송규호(사진 왼쪽부터)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원장, 장성호 LG전자 솔라고객지원팀장, 임현열 주이알 대표, 윤수현 주신우첨단소재 대표가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제공

대구가 신재생에너지 시대의 '총아'로 각광받는 '폐태양광 패널' 처리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디딤돌을 놨다. 

대구기계부품연구원(DMI)는 20일 연구원에서 <주>LG전자를 비롯해 신우첨단소재 (대구 본사), 이알(김해 본사)과 '폐태양광 패널 친환경적 처리기술개발 업무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DMI와 이들 기업은 폐태양광 패널의 친환경 처리 기술의 연구개발(R&D) 투자, 관련기술을 보유한 기업 육성에 힘을 쏟기로 했다. 대구경북지역에 새로운 캐시카우(수익창출원)로 떠오른 '폐태양광 산업 가치사슬(Value Chain)'을 구축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기업인 'LG전자'의 참여가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LG전자는 ESG(친환경·사회적책임·투명경영) 경영을 강화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이번에 대구 중소기업 및 지원기관 등과의 협업에 나섰다. 폐태양광 패널 처리 관련 기술개발 및 친환경 공정기술 개발을 지원하면서 DMI와 개발기술 사업화를 위한 공동연구도 수행할 방침이다.

LG전자는 올 1분기 영업이익이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삼성을 추월하는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발표한 바 있다.대구 중소기업들의 ESG 경영 확산에도 적잖이 기여할 것으로 지역업계에선 보고 있다.

LG전자의 협업파트너인 '신우첨단소재'는 대구연구개발특구 내 설립된 연구소기업으로 앞으로 신소재 개발 및 자동화설비에 주력할 예정이다. 종합 재활용 전문업체인 '이알'은 폐태양광 패널처리 플랫폼과 폐기물처리 공정기술 개발 등에 대한 공동기술 개발에 나선다.

신재생 에너지 확대 기조로 태양광 설비가 늘어나면서 요즘 폐패널 처리 문제가 업계의 큰 화두로 떠올랐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가 금싸라기 사업으로 조명받는 것과 같은 이치다. 태양광 패널은 2000년대 초반부터 전국에 전방위적으로 깔리기 시작했다. 사용 연한이 20~30년인 점을 감안하면 2020년대 후반부터 폐패널 배출량은 급증할 전망이다.

정부가 올초 내놓은 '태양광 폐패널 관리 강화방안'자료를 보면 폐패널 발생량은 2025년 1천223t→2027년 2천645t→2029년 6천769t→2032년 9천632t으로 해마다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DMI는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폐패널의 보관·수거·분해·분리 등 관련 산업 전(全)주기에 걸쳐 지역 중심의 순환경제 모델을 만들어 갈 방침이다.

송규호 대구기계부품연구원장은 "태양광 발전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 추후 폐태양광 패널 발생량 역시 급증할 것이다. 유럽과 미국에서도 2030년부터 발생할 대량의 폐태양광 패널 재활용 관련 해 대규모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며 "대기업-중소기업 간 기술교류를 지원하고 향후 대구 기업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에서 우위를 점하도록 기술경쟁력 강화부문을 많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