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말쯤 서비스 시작
카카오와 업무협약
![]() |
지난달 19일 경북 안동시와 카카오가 위성항법 시스템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안동시 제공> |
경북 안동시가 전국에서 7번째로 초정밀 버스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성항법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달 말쯤 서비스 제공에 들어간다.
초정밀 버스 위치정보는 위성항법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활용해 카카오맵 상에 실시간 버스 위치를 나타내준다.
이 서비스는 센티미터(㎝) 단위의 버스 위치정보를 초 단위로 갱신, 주행이나 신호대기 상태 등 버스의 이동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버스에 설치한 위성항법장치와 무선통신망(WCDMA)을 이용, 실시간 파악된 버스 운행상태를 버스정류소 안내기와 인터넷, 모바일 등의 정보제공 매체를 통해 이용객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한마디로 버스 이용객들의 편의를 극대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용방법은 카카오맵 첫 화면에서 상단 검색창의 메뉴바나 우측 레이어 버튼을 누르고 초정밀 버스 기능을 켜면 된다.
정류장을 검색하거나 대중교통 길 찾기 등에서 상세경로를 선택할 때에도 초정밀 버스 위치정보가 제공된다.
특히 버스 아이콘마다 노선번호를 표기하고 버스 종류에 따라 색상을 구분해 지도 위에서 원하는 버스를 빠르게 찾아볼 수 있다.
안동시는 해당 서비스 제공을 위해 버스정보시스템 고도화사업을 추진해 위성항법시스템 기준국과 이동국 구축을 완료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엔 카카오와 초정밀 대중교통정보제공 서비스 시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데이터 검증에 들어간 상태로 이달 말쯤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갈 예정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초정밀 버스 위치정보 제공으로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더 스마트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카카오 관계자도 "안동시를 포함해 다양한 지역과 협업으로 초정밀 버스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더 많은 지역과 협업을 이어나가 이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겠다"고 했다.
한편 카카오는 현재 제주, 부산, 광주, 춘전, 목포, 울산 지역에 초정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