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탄저병에 감염된 복숭아. 경북도 제공 |
최근 경산, 영천, 청도 등 복숭아 주산지에서 탄저병과 세균 구멍병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농가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30일 경북농업기술원 청도복숭아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4월과 5월 급격한 기온변화와 강우로 병해충 발생이 예년보다 빨라져 지역 복숭아 농가에서 탄저병이 확산하고 있다.
최근 3년 전부터 확산하고 있는 복숭아 탄저병은 과실 표면에 녹갈색의 병반을 일으키고, 이후 과실 표면에 주황색의 병원균 포자를 만들어 다른 과실에 옮기는 등 과실 생산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를 방제하기 위해선 봉지를 씌워 병원균 접촉을 줄이고, 병든 가지와 과실을 일찍 제거해야 한다.
북숭아 세균구멍병도 조기에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번 발생한 과원은 가지와 낙엽 등을 통해 매년 발생하기 때문에 농가에선 특히 조심해야 한다. 세균 구멍병 방제를 위해서는 6월까지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등을 주기적으로 살포해야 한다. 또, 복숭아 생육기에는 세균 구멍병과 함께 노린재류도 동시에 방제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청도복숭아연구소는 최근 조기 발생하고 있는 세균구멍병과 탄저병의 빠른 전달을 위해 SNS, 문자 서비스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조영숙 도 농업기술원장은 "효과적인 탄저병 방제를 위한 약제 선발 및 실증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라며 "올 연말쯤 복숭아 재배농가에 신속하게 보급해 안정적인 수확과 소득을 올리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