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전기승용차 구매보조금 물량 5천859대 중 3천985대 잔여
올해부터 법인 전기차 2대 이상 구매시 지자체 지원 제한 영향
전기차 가격 부담↑...'5천699만원' 테슬라 모델Y 등 업계 경쟁↑
![]() |
한국산업단지공단 대구지역본부는 성서산업단지 내 화물차 운전자의 불편 해소를 위해 대구비즈니스센터 주차장에 공용전기차 충전소를 구축했다. 영남일보 DB |
환경부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올해 대구시의 전기승용차 구매보조금 물량(7월말 기준)은 총 5천859대이다. 이중 3천985대(68%)는 아직 소진되지 않고 있다. 전기화물차의 경우 1천979대 중 568대, 전기승합(버스)차는 39대 전체가 그대로 있다. 이는 작년까지 법인이 소화하던 수요가 올해 상당 부분 사라져서다.
실제 지난해 대구 전기승용차 물량 중 법인이 소화한 비율이 39%(2천515대)였다. 하지만 올해는 7%대(6월 말 기준 109대)에 머물렀다. 현 상태라면 연말까지 법인 수요는 총 410대에 그칠 전망이다. 전년 대비 2천대 이상 적은 것이다.
그렇다고 법인이 전기차를 구매하지 않는 건 아니다. 대규모 법인 물량은 한국환경공단이 소화하고 있는데 올해는 환경부의 개정된 지침을 적용받는다. 올해부턴 법인이 전기차 구매시, 지자체 보조금까지 받을 수 있는 물량을 1대로 제한했다. 법인이 2대 이상 구매를 하려면 한국환경공단에 신청해야한다. 이때 보조금은 국비만 지원된다. 법인 가운데 전기차가 1대만 필요한 곳은 시비까지 지원받을 수 있도록 지자체에 신청하면 된다. 하지만 재지원 제한기간(법인 승용 2년· 화물 5년) 내 1대 이상을 더 구매하면 시비 보조금은 지급되지 않는다.
대구시는 렌트카 업체 등 수 십대씩 물량을 확보하던 수요처가 집계에서 빠지면서 전기차 수요 자체가 사라진 듯한 착시가 나타난 것으로 본다. 전기화물차는 지난해 20%(390대) 수준이던 법인 비중이 올해 15%(6월 말 기준 178대)대로 비슷하다. 통상 전기화물차를 사는 소상공인들이 1대씩 구매하기 때문에 바뀐 지침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것.
일각에선 보조금이 줄고, 충전요금 상승 및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전기차 수요가 감소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현대차의 '아이오닉6'는 지난 6월 국내에서 491대 팔렸다. 올해 가장 많이 팔린 3월(2천200대)과 비교해서 78%나 떨어졌다. 아이오닉5 판매량도 올 상반기 기준 작년보다 27% 줄었다.
충전요금은 큰 무리가 없는 수준이지만 요금 상승이 예비 차주들에게 심리적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전기차 가격이 같은 급의 내연기관차보다 높은데, 보조금이 줄고 금리가 올라 금전적 부담이 커진 것과 맞물려 신차 구매를 주저하게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다만, 전기차 업계가 '출혈 경쟁'을 펼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테슬라 '모델Y'가 7천만원 후반대에서 국내 보조금 전액 수령이 가능한 5천699만원까지 가격을 내리면서 수입차의 가격 경쟁이 본격화됐다. 국산 전기차 수요가 줄어든 것도 이 영향으로 분석된다.
전기차 업계 관계자는 "보통 신차가 출시되길 기다렸다가 보조금 신청을 한다. 더욱이 가격이 확 내려간 모델들이 나오고 있어 시장 흐름은 바뀔 수 있다"고 해다. 대구시 관계자도 "현재 접수 물량을 소화하면 배정된 보조금을 대부분 소진할 것으로 보인다. 수요가 꾸준한 전기화물차에 예산을 재배정하는 등 효율적으로 운용하겠다"고 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