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802010000288

영남일보TV

이송~수용 책임형 의료체계 구축…대구 응급실 뺑뺑이 비극 막는다

2023-08-03

초응급~경증 환자로 나눠 대응

구급상황관리센터 소통 일원화

이송~수용 책임형 의료체계 구축…대구 응급실 뺑뺑이 비극 막는다
류현욱 대구시 응급의료지원단장이 2일 오후 대구시 동인청사에서 열린 '대구 책임형 응급의료 대책' 기자설명회에서 대구 책임형 응급 이송·수용체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윤호기자 yoonhohi@yeongnam.com

대구시가 '책임형 응급의료대책'을 추진한다. 응급실을 전전하다 제때 치료받지 못해 목숨을 잃는 비극을 선제적으로 막기 위해서다.

시는 2일 시민 누구나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진료 환경 정착의 일환으로 '대구 책임형 응급의료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대책은 이송·병원·전문 분야 대응·응급의료 기반 등 4개 영역별로 구성됐다. 골자는 응급환자 이송·수용 지침을 세분화한 것이다. 환자는 △초응급 중증환자 △중증 응급환자 △경증환자로 나눠 대응키로 했다.

시는 현장 이송단계 핵심인 119구급대 권한 강화 내용을 담고 있는 '대구 응급환자 이송·수용 지침'을 마련해 지난달부터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업무 효율화를 위해 다중이송전원협진망도 가동한다.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최대 2개 응급의료센터로 문의하고 이때 2개 센터 모두 수용 곤란 상황일 경우 6개 응급의료센터로 환자 증상을 동시에 전송한다. 6개 센터에서도 모두 수용 응답이 없으면 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치료이력, 이송거리, 병상상황 등의 기준에 따라 직권으로 이송병원을 선정·통보한다. 선정된 병원은 환자를 무조건 수용해야 한다.

'대구 응급환자 이송·수용 지침'은 대구시(대구소방안전본부 포함)와 6개 응급의료센터 간 총 6회에 걸친 회의를 통해 결정됐다. 6개 권역·지역응급센터에서 지침 준수를 합의하고, 13개 응급의료기관도 지침에 동의하고 서명했다. 대구소방본부는 환자 이송기관 선정에 구급상황관리센터 역할이 커진 만큼 기존 4개 팀 12명에서 21명으로 인력을 대폭 보강했다.

응급실 과밀화를 막고자 2026년까지 대구의료원을 지역응급의료기관에서 지역응급의료센터로 격상해 현재 6개소인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를 7개소로 늘린다. 종합병원급 중증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전원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내년 하반기부터는 지역 응급의료 협력네트워크를 운영한다.

강승규기자 kang@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강승규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이윤호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