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9월 영장설에 '플랜B'까지 거론
친명계 "자유투표" 비명계 "李, 체포동의안 가결 요청해야"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백현동 특혜개발 의혹과 관련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마치고 18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을 나서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당내 계파 갈등에 대한 전운도 감돌고 있다.
이 대표는 지난 18일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으로 검찰 조사를 받았다.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과 관련해 조만간 검찰에 또 소환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시점은 이르면 정기국회 개회 이후인 9월 초가 될 전망이다. 이에 국회가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을 거칠 가능성도 한층 커졌다.
이 대표는 지난 6월 말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불체포특권 포기를 선언했다. 사법리스크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것.
하지만 민주당 의원들로선 체포동의안이 국회로 넘어오면 본회의 표결을 거쳐야 하는 입장이다. 또다시 '방탄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비명(비이재명)계와 친명(친이재명)계간 신경전이 이미 시작됐다.
비명계는 이 대표 본인이 명확히 체포동의안 가결 요청을 해서 당과 의원들 부담을 덜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내년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곧 자신들의 정치적 생존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비명계 이상민 의원은 지난 14일 KBS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는 민주당과 관계가 없고, 이 대표의 성남시장 또는 경기도지사일 때와 관련된 건"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이 대표가 그 건은 스스로 대응해서 무고함을 밝히도록 해야 한다. 당이 여기에 연동돼서 끌려 들어가선 안 된다. 자칫 당이 '방패 정당' 등의 오물을 뒤집어 쓸 가능성이 있다"고 선을 분명히 그었다. 그러면서 "차단시키는 방법 중에 이 대표의 대표직 사퇴를 제가 주장했던 것인데, 이 대표는 전혀 그 얘기를 들으려고 안 하니까 난감하다"고 쏘아 붙였다.
반면, 친명계는 이미 이 대표가 불체포특권 포기를 선언했고, 구속영장 청구 시 '제 발로 출석해 심사받겠다'고 한 만큼, 가결 요청이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원칙대로 자유 투표를 하자는 것이다. 일각에선 검찰의 '정치적 영장' 청구에 대한 부당함에 항의하는 의미로 "부결표를 던지겠다"며 이 대표를 엄호하면서 당내 결속을 강조하고 있다.
당 차원에서 이 대표가 구속되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 '플랜B'를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친명계 박찬대 최고위원은 지난 18일 KBS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영장 청구 가능성도 합리적으로 낮다. 영장 칠 확률이 10%"라면서도 "하지만 거기에 대해 대비해야 되지 않겠나. 지도부 차원에선 플랜B에 대한 고민은 전혀 하고 있지 않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이 정권이 하도 무모하다 보니 상식에서 벗어난 행동이 굉장히 많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고민이 있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선 이 대표가 만일 구속되는 상황이 왔을 때 옥중에서 대표 업무를 계속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를 계기로 계파 갈등이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본다. 벌써 비명계에선 이 대표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옥중 공천을 할 것이라는 의심의 눈초리도 보내고 있다.
'친낙계'의 세 규합도 향후 민주당의 변수가 될 수 있다. 최근 정치권 복귀에 시동을 건 이낙연 전 대표는 지난 17일 민주당의 현 상황에 대해 "민주당이 어려운 지경이다. 동지들이 어려움을 딛고 일어서 민주당다움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싶다"고 발언했다.
서민지기자 mjs858@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