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커피 생산량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꼽혀
![]() |
올해 커피 수입 규모가 줄어들면서 5년 만에 연간 수입량이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게티이미지뱅크> |
올해 국내 커피수급에 적신호가 켜졌다. 전 세계 이상기후탓에 커피생산량이 줄면서 올해 커피 수입 규모가 5년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21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커피 수입량은 10만9천752t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 줄었다. 커피 수입액도 6억4천673만 달러로 9.5% 감소했다.
지난 5년 간 커피 수입량과 수입액은 증가 추세였다. 커피 수입량은 2018년 15만8천t에서 매년 약 1만t씩 증가했다. 지난해는 처음으로 20만t을 넘어섰다. 커피 수입액 역시 2018년 6억 4천만 달러에서 2021년 9억 2천만 달러로 늘어났다. 지난해에는 13억 달러로 급증했다.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달라졌다. 커피 수입이 주춤하더니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금의 감소세가 연말까지 이어지면 2018년 이후 5년 만에 커피 수입 규모는 연간 기준으로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커피 수입이 줄어든 주요 원인은 전 세계 커피 생산량 감소다. 특히 브라질과 인도네시아 등 주요 커피 수출국은 이상 기후 등으로 커피 수확량이 확 줄었다. 엘니뇨 현상으로 가뭄까지 이어지며 세계 3위의 로부스타 커피 원두 생산지인 인도네시아는 커피 생산량이 내년에 약 20% 줄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커피 수입 규모가 워낙 큰 폭으로 커진데 따른 기저효과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커피 수입량은 전년 대비 8.2% 늘었다. 2016년(11.1%) 이후 6년 만에 증가폭이 가장 컸다.수입액은 42.4%나 증가했다. 2011년(66.5%) 이후 1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