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규 산업부 장관 만나 봉화·영양 양수발전소 유치 건의
"수도권 전력 공급 길목, 낙차 효과 커…주민 수용성도 100%" 강조
![]() |
이철우(오른쪽) 경북도지사가 13일 서울 정부청사에서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양수발전소 유치를 희망하고 있는 경북 영양군과 봉화군의 장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영양군과 봉화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양수발전소' 유치를 적극 건의했다.
산업부가 2035년 준공을 목표로 1.75GW 규모의 신규 양수발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경북 영양와 봉화를 비롯해 경남 합천, 전남 구례, 전남 곡성, 충남 금산에서 유치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최종 입지는 12월 말쯤 발표될 예정이다.
그동안 한국수력원자력이 독점적으로 건설 및 운영해 왔던 양수발전소 관련 규정 개정으로 여러 발전사가 사업에 뛰어들 수 있게 되면서 지자체의 유치전도 치열한 상황이다.
이 도지사는 지난 13일 서울 정부청사 방 장관을 만나 영양과 봉화는 80%가 넘는 산지 지형으로 300m 이상의 고도차를 이용한 낙차 효과 극대화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이를 최대 장점으로 제시했다.
또 서로 인접한 양수발전소가 송전선로를 공동으로 이용하면 송전 비용이 1천565억 원 정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양수발전소 건설로 수몰되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100% 찬성하는 등 주민 수용성이 높다는 점도 영양과 봉화의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 도지사는 "양수발전소는 전력수요가 많지 않은 시간대에 값싼 전력으로 3분 이내 발전할 수 있는 비상 전원으로 국가적으로 큰 역할을 하는 시설"이라며 "경주 지진, 울진 산불 등 원전 가동이 중단됐을 때 이를 즉각 가동해 전력 계통의 안전성을 유지한 경험과 원전 12기가 생산한 전기의 절반 이상을 수도권으로 공급하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전력 공급의 길목에 위치한 봉화와 영양이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한편 영양군과 봉화군은 올해 양수발전소 유치 및 주변 지역 자원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 공포했으며 범군민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군의회 유치동의안 의결을 거쳐 범군민 결의 대회를 개최하는 등 양수발전소 유치에 전 군민이 총력을 다하고 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