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이력 관리 통한 '경북형 배터리 데이터 서비스' 모델 구축
'찾아가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로 전기차 이용자 편의 증대
![]() |
경북도가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 '경북형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사업' 중 찾아가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진행절차. 경북도 제공 |
경북도가 '경북형 배터리 데이터 서비스' 모델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선도한다.
경북도는 16일 포항테크노파크에서 '경북형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사업' 착수 보고회를 갖고, 본격적인 사업에 돌입했다.
경북형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사업은 포항시 관내 전기차를 대상으로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와 배터리 데이터 분석을 연계해 전기차 이용자들의 편의를 증진하고, 배터리 성능인증 및 안전진단 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번 사업을 통해 <주>티비유는 총 6대의 충전 차량에 이동형 급속 충전시설을 탑재하고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에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기차 운전자들은 충전 앱 일렉배리(elecvery)를 활용,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선택해 전기차 배터리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 <주>티비유와 전기차 서비스 플랫폼 기업인 <주>피엠그로우는 포항시와 협업을 통해 취약계층(노약자·장애인·임산부 등) 소유 전기차에 우선적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신청을 통해 모집한 다양한 직업군의 전기차 이용자(트럭기사·택시 등) 70명의 차량에 OBD(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 단말기를 부착해 차량 운행 정보,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등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전기차 충전과 연계한다.
OBD를 통해 수집·분석된 배터리 데이터는 경북 빅데이터 통합플랫폼(GB모아)에 '배터리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축돼 차량 운행 이력 및 배터리 온도,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등의 안전진단 정보를 차량 소유주가 확인할 수 있다.
OBD 장착 차량은 사업기간 내 배터리 충전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될 예정이며, 배터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충전량이 일정 비율 이하로 낮아질 경우 전기차 충전 앱을 통해 자동으로 충전 예약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경북도는 이 사업을 통해 포항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내 배터리 제조사 및 재활용 전문업체와 협업해 배터리 전(全)주기 이력관리 체계를 선도적으로 구축하고, 향후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을 주도할 예정이다.
최혁준 경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앞으로도 찾아가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대상 지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전기차 이용자들의 불편을 해소 하겠다"며 "또 데이터 기반 배터리 인증 서비스 등 배터리 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도 발굴해 도내 배터리 관련 기업이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